고양 푸드플랜 뜬다 기획연재②

고양시 2030먹거리 전략 주요 목표
고양시 2030먹거리 전략 주요 목표

 

고양시 농업비중 과거 비해 크게 줄었지만
도시회복력, 기후대응 측면 역할 높아져
12개 핵심 과제, 37개 세부 사업 제안
공공급식 로컬푸드 조달체계 구축하고
공공형 스마트팜, 식재료 나눔사업 추진


[고양신문] 고양시 푸드플랜 수립 논의는 2019년 10월 시민사회와 농업인, 시의회, 공무원 등이 함께 한 ‘고양시 먹거리 전략 수립을 위한 토론회’를 통해 처음 제기됐다. 이후 시의회 조례제정과 연구용역 등을 거쳐 지난 11월 마침내 ‘고양2030먹거리비전 선포식’까지 개최되는 과정을 거쳤다. 

‘시민 누구나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누리는 도시 고양시’라는 목표를 내건 고양시 푸드 플랜은 내년부터 5년간 총 261억원의 예산으로 4대 전략, 12대 핵심과제, 37개 세부사업을 추진하면서 전략목표 달성을 위해 매진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고양시 공공급식 기반을 위한 먹거리통합지원센터 등 인프라 구축을 비롯해 친환경 농가 확대, 푸드플랜 관련 일자리 창출, 거버넌스 기구 설치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번 기획은 지난 1년간 진행된 고양시 푸드플랜 수립 연구용역 보고서를 통해 본 고양시 먹거리 실태와 향후 추진전략, 사업에 대해 살펴본다. 

<푸드플랜 기획기사>
① 먹거리 기본권 이제 지자체가 책임진다
② 고양시 푸드플랜 주요 내용 및 전략
③ 푸드플랜 성공열쇠는 거버넌스 
 

농가규모는 줄고 로컬푸드 매장은 늘고
지난 30년간 도시개발이 활발하게 이어져 온 고양시. 과거 농촌의 모습은 어느새 사라지고 전형적인 소비도시지역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는 통계자료를 통해 잘 드러나는데 고양시 농가 수는 매년 줄어들어 지난 5년간(2015~19년) 19.2%가 감소했으며 경지면적 또한 27.7%가 사라졌다(2016~20년). 고양시 산업구조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줄어든 지 오래다. 2020년 기준 고양시 총인구 대비 전업농 비중은 1.5%, GRDP(지역내총생산) 대비 농업생산 비중은 0.5%에 불과한 실정이다.  

고양시 푸드플랜 수립 연구용역을 수행한 서울경기제주 지역농업네트워크협동조합 임아영 팀장은 “농업경영체등록현황을 살펴보면 안성, 이천 등 경기남부 지자체는 2만 건이 넘는 반면 고양시는 9000건에 불과한 상황”이라며 “그마저도 대부분 소농이거나 취미농이 많고 전업농가의 비중이 낮기 때문에 사실상 산업으로서의 농업이 지닌 의미는 많이 퇴색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100만 인구의 대도시로 성장한 고양시에서 농업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다고 임 팀장은 설명했다. “전 세계적으로 봐도 도심지역만 있는 도시와 농촌지역이 혼재된 도시는 회복력의 차이가 클 수밖에 없어요. 그래서 스위스 같은 나라는 아예 국가 전체를 유기농업으로 전환하면서 국민들의 건강과 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애쓰고 있죠. 고양시도 얼마 남지 않은 농가를 친환경 농업으로 전환한다면 오히려 전화위복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지역 먹거리 생산기반은 취약한 반면 유통·소비 구조는 탄탄한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기준 고양시 로컬푸드직매장 수는 14곳, 매출액은 총 737억원으로 규모와 매출 모두 전국 최고를 나타냈다. 이는 지자체가 주도한 타 지역과 달리 고양시의 경우 지역농협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역별 먹거리 불평등 수준 심각
먹거리 보장여건 수준을 살펴보자. 보고서에 따르면 고양시 경제적 취약계층 3만6622명 중 35.2%(약 1만3000명)는 먹거리 사각지대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먹거리 양극화 현상은 단순히 양적 결핍을 넘어 건강불평등 문제로 이어진다. 작년 경기도 먹거리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자 및 저소득층에서 비만율, 고혈압, 당뇨병 등이 모두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고양시 내에서도 먹거리 인프라 편차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임아영 팀장은 “생활권역별로 분석한 결과 취약계층이나 먹거리 복지서비스가 필요한 이들이 밀집한 지역에는 정작 복지시설이 부족하고 아파트지역에 복지시설이 몰리는 등 먹거리 인프라 양극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노인인구와 청년 1인가구가 많은 덕양 남부지역에 오히려 복지시설이 열악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보고서에 따르면 덕양 남부지역은 고령화율(15.1%), 독거노인수(1만278명), 결식아동수(666명) 모두 고양시 내 최다인 반면 복지시설 수는 26곳으로 4개 생활권 중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푸드플랜 주요 내용은
이러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보고서는 고양시 먹거리 정책방향을 시정 키워드와 연계해 크게 4가지로 제안했다. ▲먹거리 생산-소비-폐기단계에서의 탄소절감 ▲마을공동체와 연계한 먹거리 경제 활성화 ▲로컬푸드 기반 먹거리 복지 시스템 구축 ▲특례시에 걸맞는 먹거리 자족도시 기반 마련 등이다. 

2026년까지 총 261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먹거리 2030비전의 주요 전략목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환경 친화적 먹거리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해 친환경 인증 농가면적 규모를 현 191.1ha에서 340ha(전체 10%)로 대폭 확대한다. 친환경 인증농가 수 또한 179명에서 350명으로 2배 넘게 늘린다는 계획이다. 

공공급식 기반 로컬푸드 조달체계 또한 대폭 확대해나간다. 우선 공공급식지원·로컬푸드거점센터 역할을 담당하는 고양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2024년까지 설립한다. 또한 먹거리공급 거점센터를 2곳 설립하고 로컬푸드직매장도 현 14곳에서 25곳으로 확대하는 등 먹거리 인프라를 구축한다.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먹거리 공동체 수를 100개, 푸드플랜 관련 창업 및 일자리 수를 1100개로 늘려 공동체 기반 먹거리 경제 활성화를 위해 나선다. 

 

먹거리 정책 실행기반도 강화한다. 먹거리 정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민관 거버넌스 기구인 먹거리 위원회와 먹거리 정책 자문위원회를 내년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기후대응, 먹거리 자족도시 기대
세부계획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친환경 먹거리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해 총 12개 사업 35억60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주요사업을 살펴보면 로컬푸드와 연계한 탄소다이어트 프로젝트 등을 담은 탄소 다이어터 운영사업, 친환경 로컬푸드 생산-유통 지원사업, 도시농업과 연계한 로컬나눔사업 등이 있다. 음식물쓰레기 감소를 위해 지역 외식업체 단체들과 연계해 진행하는 ‘고양식당 밥 반공기 운동’도 눈에 띈다. 

이중 고양 공공형 스마트팜 지원사업은 지역특성에 맞춘 제안사업이다. 길청순 지역농업네트워크 이사장은 “고양시의 경우 농가 고령화 현상이 심해지고 지가도 비싸져서 신규농가들이 생기기 힘든 여건”이라며 “때문에 도시 내에서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공공성도 높이는 방안으로 사회적 스마트팜 확대를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가령 농협이나 다른 민간주체가 부지를 마련하면 시가 공공형 스마트팜 시설을 지원하고 이곳에 경력 단절자나 은퇴자, 귀농을 꿈꾸는 이들이 참여해 농산물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가장 많은 예산(191억5400만원)이 투입되는 공공급식 기반 로컬푸드 생산-소비 확대 분야에는 총 8개 세부사업이 추진된다. 핵심은 공공급식지원센터와 로컬푸드거점센터 기능을 함께 담은 고양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설립이다. 현재 대화동에 위치한 고양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를  총 50억원의 예산으로 확대·개편해 학교 및 공공급식 식재료 공동 물류체계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먹거리 취약계층을 위한 고양 밀키트 및 이용 레시피 개발 사업 또한 고양시만의 독창적인 사업으로 제안됐다. 임아영 팀장은 “보통 취약계층을 위한 먹거리 복지사업은 일방적인 현물지원 위주인 반면 이 사업은 조리여건이 되는 분들에게 스스로 음식을 해먹을 수 있도록 밀키트와 영상 레시피 등을 패키지로 제공하는 방식”이라며 “특히 연구용역 과정에서 지역 민간자문위원 한 분이 제안해 반영된 사업이라 의미가 더 크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공동체 기반 먹거리 경제 활성화를 위해 ▲남는 식재료 나눔사업 ▲밥상 공동체 사업 ▲청년 먹거리 인큐베이팅 지원사업 등 6개 사업에 4억5600만원이 투입된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먹거리 정책 실행기반 강화를 위해 총 29억3000만원을 반영해 ▲민간거버넌스 기구인 먹거리 위원회 및 정책 자문위원회 운영 ▲먹거리 통합플랫폼 개발 및 DB구축 ▲먹거리 정책 전문부서 및 인력배치 확보 ▲먹거리 시민활동가 육성 등에 나설 것을 함께 제안했다. 

길청순 이사장은 “고양시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푸드플랜 출발이 다소 늦긴 했지만 생협조직이나 소비자단체 등 민간주체들의 먹거리 관심이 높고 담당부서의 의지도 충분한 만큼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며 “도시차원의 먹거리 선순환 체계 구축은 이미 전 세계적 추세인 만큼 고양에서도 이제 주요 시정목표 중 하나로 다룰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