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일자리 확대 등 성평등 정책 6가지에 대부분 ‘적극 추진’

고양여성민우회가 27일 성평등 정책추진 제안서에 응답한 후보 8명을 공개했다. 사진은 지난 3월 29일 민우회 등 지역 여성단체들이 주최한 ‘여성가족부 폐지 반대와 지역 성평등강화 요구’ 기자회견 모습.
고양여성민우회가 27일 성평등 정책추진 제안서에 응답한 후보 8명을 공개했다. 사진은 지난 3월 29일 민우회 등 지역 여성단체들이 주최한 ‘여성가족부 폐지 반대와 지역 성평등강화 요구’ 기자회견 모습.

[고양신문] 이번 6.1지방선거에 출마한 후보 중 8명이 고양여성민우회가 제안한 성평등 정책추진체계를 지지한다고 약속했다. 해당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이재준 시장후보와 정의당 김혜련 시장후보를 비롯해 민주당 왕성옥 후보(6선거구, 이상 도의원), 정의당 장상화 후보(라선거구), 진보당 전민선 후보(마선거구), 정의당 서진원 후보(마선거구), 민주당 정민경 후보(바선거구), 국민의힘 이홍규 후보(아선거구, 이상 시의원) 등이다. 

민우회 측은 고양시 출마자 29명에게 질의서를 전달한 결과 해당 후보들로부터 ‘전면 추진’ 혹은 ‘일부 추진’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나머지 후보들은 연락이 닿지 않거나 답변서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민우회는 앞서 지난 3월 29일 ‘여성가족부 폐지 반대와 지역 성평등강화 요구’ 기자회견을 이후 성평등 정책요구안 6가지를 선정해 후보들에게 제안해왔다. 정책요구안의 주요 내용은 시장 직속 젠더정책담당관(부서) 등 성평등 추진체계 도입을 비롯해 ▲여성 대표성 확대 ▲코로나19로 더욱 악화된 여성일자리 실태조사와 노동조건 개선 ▲돌봄노동의 공공화 ▲여성폭력과 혐오 없는 사회실현 ▲다양한 가구(족)형태 및 특수성에 따른 제도적 지원 등이다. 
 

이재준 민주당 시장후보는 여성친화도시 정책 확대 및 젠더폭력 대응을, 김혜련 정의당 시장후보는 젠더정책실 신설, 산하기관 등의 여성 관리자 확대를 각각 제시했다.
이재준 민주당 시장후보는 여성친화도시 정책 확대 및 젠더폭력 대응을, 김혜련 정의당 시장후보는 젠더정책실 신설, 산하기관 등의 여성 관리자 확대를 각각 제시했다.


답변 후보들은 해당 정책 제안에 대한 적극적인 공약화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정책을 약속하기도 했다. 먼저 이재준 시장 후보 측은 “현직 시절에 추진했던 여성친화도시 정책을 이어가면서 노인복지, 차별없는 여성노동조건 향상, 아동친화도시 조성, 다양한 가족 형태 지원, 폭력 피해자 쉼터 확대 등 젠더 폭력 대응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혜련 시장후보는 여성대표성 확대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젠더정책실 신설, 산하기관 등의 여성 관리자 확대, 위원회 여성위원 참여현황 정기조사, 여성위원회 비율 실국별 관리 강화 등을 제시했다. 

왕성옥 도의원 후보자는 경기도 주택정책에서 1인 가구 등 다양한 가족 형태가 차별받지 않는 기준을 갖도록 대안을 만들겠다고 밝혔으며 장상화 시의원 후보는 추가적으로 여성이 권한과 책임을 가지는 ‘고양시 여성일자리재단’설립과 산하기관 및 위탁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의 직원들에 대한 성평등 교육 이수 의무화를 확대를 약속했다.  

전민선 후보는 성평등승진목표제 및 여성 노동자 비중이 높은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지원조례 제정을 약속했으며 정민경 후보는 노인이나 장애인을 위한 사회통합돌봄 기본계획 추진과 재난취약계층에 대한 교육, 지원 확대 가정폭력 실태조사 및 통합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6가지 성평등 정책요구안에 '적극추진' 혹은 '일부추진'으로 답한 시도의원 후보는 총 6명이다. 사진 왼쪽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왕성옥 도의원 후보, 장상화 시의원 후보, 전민선 시의원 후보, 서진원 시의원 후보, 정민경 시의원 후보, 이홍규 시의원 후보(지역구 순).
6가지 성평등 정책요구안에 '적극추진' 혹은 '일부추진'으로 답한 시도의원 후보는 총 6명이다. 사진 왼쪽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왕성옥 도의원 후보, 장상화 시의원 후보, 전민선 시의원 후보, 서진원 시의원 후보, 정민경 시의원 후보, 이홍규 시의원 후보(지역구 순).


다만 이홍규 후보는 성평등 추진체계 마련 등 3개 항목에는 동의의사를 밝혔으나 여성의 대표성 확대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또한 돌봄여성노동자들의 노동조건에 대한 조사와 정책 마련, 공공부문 내 성별 임금 격차 줄이기 조례 현실화 방안에는 동의했으나, 여성에게 집중 되어 있는 시간제 노동 감축 대책과 시간제 노동의 안정화 방안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동의 의사를 나타냈다고 민우회 측은 밝혔다. 

이도영 고양여성민우회 대표는 “답변서를 보낸 후보자가 많지 않아서 아쉽다”면서도 “선거 이후에도 당선자들이 공약을 지키는지 확인하고 시민들에게 알려나갈 것”이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 계획을 밝혔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