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예술 창작, 장항습지 체험
각기 다른 테마 공간으로 변신
도보·자전거 여행 시 '쉼터'로 


[고양신문] 고양시는 ‘한강하구 생태·역사 관광벨트 조성 사업’으로 대덕생태공원에서 일산대교에 이르는 약 18.2㎞의 구간에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 구간에 있는 행주군막사는 한강방문자센터로 달라졌다. 연면적 약 562㎡(170평)의 공간에는 곳곳에 쉼터가 마련돼 있다. 한강방문자센터 1층에는 화장실, 샤워실 등과 함께 공용 주방이 있어 간단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다. 2층은 한강 관리를 위한 사무실로 활용하고 있고, 3층 옥상 쉼터로 올라가면 탁 트인 테라스 공간이 마련돼 있다.

한강방문자센터 공용 주방
한강방문자센터 공용 주방

한편 주변의 군초소 또한 새롭게 단장을 마쳤다.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까지 고양한강평화공원 주변 9개 초소를 리모델링했다. 시설 정비와 함께 보행 데크를 설치해 편의를 더했고, 벤치에 앉아 한강을 바라보면서 ‘물멍’을 즐길 수 있다.

또한 고양한강평화공원 일원 3㎞ 구간에는 탐방로 개선과 수목 식재가 진행 중이다. 행주산성부터 장항습지로 이어지는 보행로를 확보하고 있으며 길가에는 왕벚나무, 이팝나무 등이 꽃을 피울 것으로 기대된다.

시각예술 담은 신평예술창작공간
생태 체험의 거점, 장항습지센터

한강방문자센터에서 약 4㎞ 떨어진 곳에 위치한 신평예술창작공간은 신평군막사가 있던 자리에 생겼다. 신평예술창작공간은 새로운 들판이란 뜻으로 ‘새들’이란 이름을 붙였으며 장병들이 생활했던 내무실 구조를 살려 창작 공간을 마련했다.

현재 4명의 입주 작가가 작품 활동을 하고 있으며 지역의 생태, 환경 등을 연구해 자료를 시각화한다. 오는 30일부터 11월 13일까지 쇼케이스 형식의 전시회가 열릴 예정이다. ‘새들’을 운영하는 김유빈 큐레이터는 “앞으로 전시나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시민들을 위한 예술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평예술창작공간에서 수색~화전 구간을 그려내는 전지홍 작가.
신평예술창작공간에서 수색~화전 구간을 그려내는 전지홍 작가.

한편 장항군막사를 증축, 리모델링한 람사르고양장항습지센터(가칭)는 연면적 999㎡, 2층 건물로 달라졌다. 내부에는 생태 교육장, 4D 영상관 등의 시설이 갖춰져 있다. 약 30m 높이의 전망대에 올라가면 장항습지와 한강 하구의 전경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람사르고양장항습지센터(가칭) 4D 영상관
람사르고양장항습지센터(가칭) 4D 영상관

‘DMZ 평화의 길 거점센터’ 조성
도보·자전거로 떠나는 평화 여행

리모델링을 시작한 통일촌 군막사는 지난달 DMZ 평화의 길 거점센터로 준공이 됐다. ‘DMZ 평화의 길 조성 사업’으로 새로운 모습을 갖추게 됐으며 내부 인테리어 공사 후 내년부터 쉼터, 전시관 등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DMZ 평화의 길’ 도보 여행 프로그램을 11월 23일까지 운영한다. 고양 구간은 행주산성 역사 공원에서 DMZ 평화의 길 거점센터까지 도보 및 차량으로 진행한다.
이곳은 한강하구에서 군 철책이 가장 먼저 제거된 장소이며, 40여 년간 개방되지 않았던 2.5㎞ 군 철책길을 걸을 수 있는 의미 있는 코스다. 참가 신청은 ‘DMZ 평화의 길’과 ‘두루누비’ 홈페이지에서 하면 된다.

DMZ 평화의 길 거점센터
DMZ 평화의 길 거점센터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