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연 작가 캘리그라피 전시
다양한 재료 사용한 예쁜 그림·글씨
~31일까지, 관산동 마을행복창고

캘리그라피와 전각을 접목한 작품집  중에서
캘리그라피와 전각을 접목한 작품집 중에서

[고양신문] 추운 겨울이 지나고 새봄을 알리듯 캘리그라피 전시가 관산동 마을행복창고(벽제농협 뒤)에서 3월 한 달간 열리고 있다. 지난 12월 15일에 문을 연 관산동 마을행복창고는 지역 내 유휴공간인 벽제농협의 양곡창고를 리모델링해 조성한 곳으로, 1층은 주민들이 편하게 찾아 올 수 있도록 카페처럼 꾸며놓았다. 흰 벽과 공간 이곳저곳에 이순연 캘리그라피 작가의 작품 20여 점을 전시해 천천히 감상할 수 있다.

이순연 작가는 한국캘리그라피창작협회 고양지부장으로 다수의 전시회와 협회심사위원으로 활동 중이고 한지 이외에 패브릭, 나무, 종이, 전각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캘리그라피의 영역을 넓히고 있다. 패브릭위에 캘리를 응용한 작품을 처음으로 만들어 관심 있는 많은 수강생들이 배우러 온다고 한다.

전각작업에 몰입해 있는 이순연 작가.
전각작업에 몰입해 있는 이순연 작가. [사진제공=이순연]

“캘리그라피는 종합예술이라고 생각해요. 종이에 글씨만 쓰다 보니 그림이 그리고 싶어졌고 천, 나무, 돌 그 밖의 재료에도 작품을 하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실용 캘리를 추구합니다. 캘리그라피와 전각을 합쳐 작업을 했는데 운 좋게 작품집도 출간하게 됐고요. 쓸모없는 것들을 쓸모 있게 하는 리사이클링과 업사이클링에도 관심이 많아서 오래된 도마나 서랍도 활용해 다양한 작품을 만들고 있어습니다.”

이 작가는 2년 전에 관산동에 터를 잡아 ‘골방’이라는 캘리그라피 공방을 열었다. 관산동종합복지관에서 수업을 하면서 동네가 문화적으로 소외되어 안타까웠다는 그는 “앞으로 주민들이 가까운 곳에서 쉽게 문화생활을 하고 즐길 수 있도록 힘을 보태고 싶다”고 전했다.

6월에 상주에서 개인초대전이 있고 7월에는 골방 수강생들과 어울림누리 어울림미술관에서 단체전을 열 계획이라고 한다. 

이순연 작가의 공방에는 다양한 재료들로 구성된 작품들을 더 많이 볼 수 있다.
이순연 작가의 공방에는 다양한 재료들로 구성된 작품들을 더 많이 볼 수 있다.
작은 크기의 아기자기한 작품이 나란히 놓여 있다.
작은 크기의 아기자기한 작품이 나란히 놓여 있다.
전시장에서 볼 수 있는 백범 김구 선생님의 글을 적은 작품
전시장에서 볼 수 있는 백범 김구 선생님의 글을 적은 작품
다채로운 캘리그라피 작품이 전시되어 있는 관산동 마을행복창고 실내모습
다채로운 캘리그라피 작품이 전시되어 있는 관산동 마을행복창고 실내모습
돌로 만든 전각들이 빼곡이 자리한 작가의 공방 한 켠.
돌로 만든 전각들이 빼곡이 자리한 작가의 공방 한 켠.
벽재농협 양곡창고를 리모델링해 탄생한 '관산동 마을행복창고' 전경
벽재농협 양곡창고를 리모델링해 탄생한 '관산동 마을행복창고' 전경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