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마을버스 배차문제 심각
087번 버스 배차간격 3시간
교통취약 외곽지역 불편 커
기사 수급난에 운행버스 줄어
처우개선 위한 준공영제 시급
[고양신문] “개통 당시에는 40분마다 오던 마을버스가 지금은 몇 시간을 기다려도 한 대 올까 말까에요. 안 그래도 교통편이 열악한 외곽지역이라 이용할 노선도 없는데 배차 간격이 이렇게 늘어나면 어떻게 이용하라는 건지...”
5년 전 고봉4통(설문동)에서 출발해 식사동, 풍산역을 지나 밤가시마을을 종점으로 개통한 087번 마을버스. 개통 당시 고봉4통 마을회관에서 마을잔치를 열고 어르신들이 직접 시승식까지 했을 정도로 주민들의 애정이 많았던 노선이었지만 현재 지나친 배차간격 증가로 인해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정성기 고봉4통장은 “코로나가 처음 터졌을 때는 운행횟수가 줄어들어도 그러려니 했는데 올해 들어서도 달라진 게 없다”며 “마을회관을 이용하는 어르신들의 민원이 빗발쳐 주민센터에 문의도 해봤지만 해결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답답해했다.
늘어난 마을버스 배차간격으로 인해 불편을 겪는 곳은 비단 고봉4통만이 아니었다. GS자이아파트에서 출발해 일산중앙로를 따라 동구청까지 가던 061마을버스의 경우 평일 15~18분, 주말 15~20분이던 배차 간격이 현재 1시간으로 늘어났다. 약속시간에 맞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이다.
이처럼 배차 간격이 늘어난 이유는 기존 운행중이던 마을버스 상당수가 현재 차고지에서 쉬고 있기 때문이다. 김운남 시의원이 시 대중교통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고양시는 현재 마을버스 85개 노선과 427대가 인가되어 있지만 정작 운행되고 있는 차량은 현재 324대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언급된 087번 버스의 경우 당초 3대에서 1대만 운행 중이며 061번 또한 4대 중 1대만 운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 전에는 10대가 운영되고 있던 091번 마을버스 또한 현재 4대로 반토막이 난 상태다.
그렇다면 마을버스의 상당수가 운행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정병철 경기도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 고양지부장은 “고양시 마을버스가 정상적으로 운영되려면 960명의 버스기사가 필요한데 현재 근무 인원은 644명에 불과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휴가, 병가 등을 위한 대기인원 수 까지 고려하면 필요한 버스기사 수보다 3분의 1가량 부족한 셈이다. 운전할 기사가 없으니 운행버스 수도 줄어들고 자연스럽게 배차 간격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 마을버스 업체 관계자는 “안 그래도 마을버스 기사처우가 열악한데 코로나 등의 여파로 업체의 운영난까지 겹치면서 상황이 더 심각해졌다”며 “최근 배달업종 등으로 이직하는 비율이 높은 데다가 그나마 남은 기사인력도 서울이나 파주 등 임금 조건이 좋은 곳으로 유출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고양시 마을버스 월 급여액은 약 250만원 정도인 반면 마을버스 준공영제를 시행중인 파주시는 300만원으로 50만원이 더 높은 상황이다. 서울시 시내버스와 경기도 광역버스 또한 모두 준공영제로 운영되고 있는데 이들의 임금수준 또한 각각 450만원,390만원 정도로 고양시 마을버스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마을버스 구인난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버스 준공영제 도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김운남 의원은 지난달 시정질의를 통해 김운남 의원은 “마을버스 운전기사 부족으로 인해 버스운행에 차질을 빚고 있다”며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에게 전가되기 때문에 하루빨리 마을버스 준공영제를 실시해 버스기사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을버스 업체들 또한 “준공영제가 도입되지 않고서는 어떤 방식의 대안이 나와도 임기응변식 대응밖에 안된다”며 준공영제 도입이 시급하게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시 담당부서는 준공영제 도입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재정문제 등을 고려해 2025년까지 시행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경기도에서 2025년까지 도내 시내버스에 대한 준공영제 시행을 준비 중인 만큼 이에 맞춰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문제가 된 마을버스 구인난 대책과 관련해서는 “버스업체에 유류비 적자분 100%, 운전기사 인건비 적자분 95% 등 재정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