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예정지 등 
정부, 첨단산업단지 15곳 발표
이 시장은 ‘기승전 경자구역’만
유치 협의 중인 시설도 못 챙겨 

“고양시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바이오, 컬처, 마이스, 반도체 등 미래 혁신기술이 고양시로 집약되고 산업 생태계가 조성됨으로써 혁신적인 기업과 창의적인 인재들이 몰려들 것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이 최근 고양시 각 동을 방문해 나누는 ‘주민과의 대화’에서 어김없이 하는 말이다. 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내년 6월 추가 경제자유구역을 발표하기 전에는 고양시 JDS지구 800만 평은 엄연히 ‘후보지’일 뿐이다. 또한 설령 전국의 숱한 경제자유구역 후보지와 경쟁을 벌여 고양시가 최종 지정된다 하더라도 경제자유구역이 기업유치를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다. 왜냐하면 최근 정부에 의해 ‘첨단산업단지’가 대거 발표됐기 때문이다. 첨단산업단지는 미래 기업수요를 상당부분 흡수할 것이기 때문에 고양시 기업유치는 그만큼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장관 원희룡)는 지난 15일 신규 국가첨단산업단지 예정지로 용인을 포함해 15곳을 발표했다. 용인 215만평에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을 비롯해 △대전유성구(160만평)에 나노·반도체와 우주항공 산업 △대구 달성군(100만평)에 미래차·로봇산업 △고흥(52만평)에 우주발사체 산업 △안동(40만평)에 바이오산업 △청주(30만평)에 철도산업 등을 조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정부는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000억원) 등 6대 첨단산업에 걸쳐 2026년까지 550조원 규모의 민간 주도 투자를 유도한다는 전략 하에 15곳의 첨단산업단지 예정지를 발표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세계 최대의 반도체 허브’를 짓는다는 목표 하에 2042년까지 ‘용인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에 30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국가첨단산업단지 예정지 15곳 위치도. 자료 = 국토부  
국가첨단산업단지 예정지 15곳 위치도. 자료 = 국토부  

국가첨단산업단지로 지정되려면 우선 지방자치단체의 요청이 있어야 한다. 이후 전문가 평가위원회의 서면검토·현장실사·종합평가 결과를 토대로 산업입지정책심의위원회를 거쳐 예정지로 선정된다. 고양시 역시 경제자유구역 후보지인 JDS지구에 시스템 반도체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지난 2월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에 응모했지만 용인시에 자리를 양보해야 했다. 


국토부가 국가첨단산업단지 예정지를 공고한 지 6일 후인 지난 21일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도시재정비 현안을 챙긴다는 명목으로 일산신도시 아파트 현장을 방문했다. 이날 한 시민이 원 장관에게 “용인으로 결정된 반도체클러스터가 고양으로 왔으면 참 좋았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표하자, 원 장관을 대신해 이동환 시장이 나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고양시도) 분위기가 확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경제자유구역 후보지 800만평에 포함되는 일산테크노밸리의 기업유치 전망은 그다지 낙관적이지 않다. 특히 일산테크노밸리에 국림암센터 산하의 암빅데이터센터와 신항암치료센터를 입주시키기 위해 고양시가 국립암센터와 MOU를 맺는 등 협의 논의를 한창 진행했지만, 이동환 시장 취임 이후에는 협의가 멈춘 상황이다. 이동환 시장 취임 전까지 고양시는 국립암센터를 비롯한 지역 대형병원과 파트너십을 맺고 일산테크노밸리에 ‘바이오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구상을 가지고 활발한 협의를 진행해왔었다. 국립암센터 관계자는 “암센터는 고양시에 얼마든지 협력할 의지가 있지만, 고양시가 요청하지 않은 상황에서 암센터가 먼저 발벗고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작년 카이스트(KAIST)는 국립암센터와 손잡고 대전에 있는 카이스트문지캠퍼스에 ‘코흐 암연구소’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