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계 거목, 김언호 한길사 대표
사진집 ‘지혜의 숲으로’ 발간
책 찾아 떠난 긴 여행에서 만난
세상 곳곳 책의 공간들 담아
4월 23일까지 법원도서관 전시

“종이책 없이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을까요.” 김언호 대표는 종이책의 귀중함을 절절하게 설명했다. 한마디 군더더기도 없는, 완고하고 단아한 언어들이 이어졌다. 아름다운 책을 만들고 찾는데 평생을 보낸 사람이 들려주는 사색의 언어들은 그의 사진집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종이책 없이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을까요.” 김언호 대표는 종이책의 귀중함을 절절하게 설명했다. 한마디 군더더기도 없는, 완고하고 단아한 언어들이 이어졌다. 아름다운 책을 만들고 찾는데 평생을 보낸 사람이 들려주는 사색의 언어들은 그의 사진집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고양신문] “종이책 없이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을까요. 책은 우리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묻고 답할 수 있게 합니다. 책이라는 것은 온갖 얘기가 다 들어가 있다 보니, 보면 볼수록 신비로워요. 책의 모습을 사진으로 찍는 건 책의 정신을 탐험하는 작업이기도 하죠.” 

지난 3월 20일 한길사 김언호 대표의 사진집 ‘지혜의 숲으로’가 발간되었다. 사진집에는 김 대표가 세계 각국을 여행하며 만난 책의 공간이 담겨 있다. 

한길사 김언호 대표는 올해로 47년째 약 3500권의 책을 펴냈다. 김 대표는 “아름다운 책을 만들고 찾아내는 것이 삶의 목표이자 전부다. 출판인으로서 책의 세계를 계속해서 발견하고 있다. 책 사진을 찍는 것도 책을 발견하는 작업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김언호 대표가 처음 책의 모습을 사진에 담는 것은 1987년 네팔 여행에서 시작되었다. 김 대표는 “히말라야를 걷던 중 길가에 앉아 책을 읽으며 이야기하는 아이들을 보고 큰 감동을 받았다”고 말한다. ‘지혜의 숲으로’에서 가장 오래된 사진으로, 첫 페이지를 장식했다. 이후 부산 보수동의 책방 골목부터, 과거시험을 보는 사람이 머물렀던 남경의 도서관, 500년 된 파리의 서점, 가업을 물려받은 세 자매가 운영하는 뉴욕의 서점과 1930년대의 영화관을 개조한 책방 등 여러 나라에 자리한 책의 공간, 책과 함께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김 대표는 가장 인상 깊었던 공간으로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의 ‘도미니카넨 북스토어’와 일본의 ‘이시카와 현립도서관’을 꼽았다. 영국 유명 일간지 가디언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방’으로 꼽은 곳이 마스트리흐트의 ‘도미니카넨 북스토어’다. 이곳은 800년 전 성당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사람들이 성당을 찾지 않으면서 다른 공간으로 쓰이기 시작했는데, 모터쇼 전시장, 권투경기장, 창고를 거쳐 책방으로 변신했다. 김 대표가 지난 설에 다녀온 이시카와 현립도서관은 작년 7월 개관했다. 전 세계 건축가들이 6년 걸려 만들었다는 이시카와현립도서관은 ‘일본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서관’이라는 입소문을 탔다. 계단으로 이어진 서가가 원형 홀을 크게 둘러싸면서 로마의 원형 경기장인 ‘콜로세움’의 모습을 하고 있다. 

‘지혜의 숲으로’에는 약 3만 개의 책이 등장한다. 평생 책을 만든 사람이 발견해낼 수 있는 풍경이 담겼다. 책을 만들면서, 책을 찾으러 가서, 여행지에서 등 47년 동안 책을 만든 출판인의 행로를 한눈에 볼 수 있다. 그는 어떤 책을 만들고 읽을 것인지 고민하며 여행하고 있다고 말한다. 김 대표는 사진집에 담긴 공간을 설명하며 책에 대한 애정을 나타냈다. 

“책이 존재하는 모습 자체가 아름다워요. 책은 한 권도 아름답지만 여러 권이 모여 있으면 더 아름다워요. 책은 고유한 빛깔과 목소리를 갖고 있어요. 그 책들이 모인 걸 책들의 합창 소리라고 불러요.”

김 대표는 종이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답게 살기 위해서는 종이책을 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 삶에 책이 없어도 살아나갈 수는 있겠지만… 어떻게 살 것인가를 묻고 대답하는 그 과정이 독서예요. 최근에 와서 다시 종이책의 중요성을 실감하고 있어요. 스마트폰으로 지식과 정보를 찾아낼 수 있지만, 종이책이 담아내는 지혜는 찾을 수 없죠. 이번 사진집과 전시를 통해 시민들에게 종이책의 귀중함에 대해 말하고 싶어요.” 

김 대표는 종이책이 삶의 지혜를 가져다줄 수 있는 만큼, 사람들의 일상에 책이 스며들기 위한 책의 공간도 중요하다고 말한다.

“도시에서 고층 건물보다 더 중요한 것은 미술관, 박물관, 극장, 도서관, 서점과 같은 문화 공간이죠.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책과 그 공간이 한 도시의 문화와 정신을 상징한다는 걸 느꼈어요. 책은 우리의 정신을 일으킬 수 있는 아름다운 힘을 가지고 있어요. 100만 시민이 사는 고양시에도 지역을 대표할 도서관이 있어야 합니다.” 

김 대표의 전시를 보고 다시 종이책을 들었다는 이들도 있다고 한다. ‘지혜의 숲으로’는 사람들을 다시금 종이책 사이로 끌어당기기도, 책을 찾아 떠나는 여행을 결심하게도 한다. 책을 사랑하는 이들을 향해 출판인으로서 독자들의 책 읽기를 존경한다고 말하는 김 대표는 “한 시대 출판문화는 출판사와 저자뿐 아니라, 독자들까지 모여야 완성된다”고 이야기했다. 

김언호 대표의 ‘지혜의 숲으로’ 사진집에 실린 사진은 고양시 장항동에 위치한 법원도서관에 전시되었다. 법원도서관 안 책장에 걸린 사진들은 지난 10일부터 시작해 오는 23일까지 전시될 예정이다.

'지혜의 숲으로'에 실린 사진은 법원도서관에서 4월 23일까지 전시될 예정이다.
'지혜의 숲으로'에 실린 사진은 법원도서관에서 4월 23일까지 전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