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지병원 돌고래 치과센터 개소식

명지병원 돌고래 치과센터 개소식 현장. 이날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 이용우 국회의원을 비롯한 지역 정치인·경제인·학부모들이 모여 리본 컷팅식에 참여했다.
명지병원 돌고래 치과센터 개소식 현장. 이날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 이용우 국회의원을 비롯한 지역 정치인·경제인·학부모들이 모여 리본 컷팅식에 참여했다.

작년 개소 후 23일 개소식 열어
15번째 장애인구강진료센터
경기북부에선 '최초'


[고양신문] 명지병원(병원장 김진구)이 경기북부 최초의 장애인구강진료센터인 ‘돌고래 치과센터’의 문을 열고 23일 개소식을 개최했다. 이번 경기북부 권역센터 돌고래치과의 개소로 전국에서 운영 중인 장애인 구강진료센터는 총 15곳으로 늘어났다.

이날 명지의료재단 이왕준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전문치료시설의 부족으로 치과 치료 적기를 놓치는 장애인들이 없도록 돌고래치과가 경기북부 지역 장애인 구강진료의 거점 역할 수행하며, 지역사회 장애인 구강보건 증진에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축사에서 “경기도 등록 장애인이 58만명에 달하지만, 장애인구강진료센터는 경기남부에만 1개가 운영되고 있어, 경기북부 권역 장애인들은 치과치료에 불편을 겪어왔다”며 “명지병원에 ‘돌고래 치과센터’라고 불리는 경기북부 권역센터가 문을 연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라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원활한 치과운영을 위해 경기도를 비롯한 관계기관들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격려를 보냈다.

치과센터 시설을 소개 중인 명지병원 이왕준 이사장. (왼쪽에서부터) 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 이지은 과장, 명지병원 이왕준 이사장, 고양시의회 김영식 의장.
치과센터 시설을 소개 중인 명지병원 이왕준 이사장. (왼쪽에서부터) 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 이지은 과장, 명지병원 이왕준 이사장, 고양시의회 김영식 의장.

지난 2020년 보건복지부와 경기도로부터 경기북부권역 장애인 구강진료센터로 지정된 ‘돌고래 치과센터’는 지난해 11월부터 지역 장애인들에게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과 진료와 구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센터는 중증 장애인 환자에게 필요한 전신마취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추고 난이도가 높은 전문적 치과 치료를 시행한다. 

돌고래 치과센터는 장애유형이나 등급, 나이와 관계없이 장애인 복지카드를 소지한 모든 장애인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이 밖에도 장애인 복지카드만 있다면 기초생활수급자인 장애인은 총액의 50%, 치과영역 중증장애인은 총액의 30%, 기타 장애인은 총액의 10%만큼 비급여 진료비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4명이 동시에 진료 가능한 진료실과 전신마취 격리치료실, 회복실, 구강위생 교육실, 돌고래 가족실, 전용 엘리베이터 등도 갖췄다. 일반 진료대기 공간보다 2배 이상 넓은 좌식형 돌고래 가족실은 몸을 가누기 힘든 환자들이 바닥에 앉거나 누워 편안한 상태로 진료를 기다릴 수 있다. 이밖에도 명지병원은  돌고래 치과센터에 경증 장애인 12명을 돌고래치과 보조인력으로 채용해 환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편견 없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각종 노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돌고래 치과센터 운영방안, 장애인 혜택 등을 소개 중인 하종철 센터장.
돌고래 치과센터 운영방안, 장애인 혜택 등을 소개 중인 하종철 센터장.

경기북부 장애인 구강진료센터 하종철 센터장이 소개한 ‘돌고래 치과센터’의 기대효과는 크게 네 가지이다. 바로 △경기북부를 아우르는 우수한 접근성 확보 △대기시간, 체류시간 최소화 △장애인 치과진료 인프라 구축 △지역사회 병·의원, 보건소 등과의 연계체제 구축. 명지병원은 이를 통해 경기북부 거주 장애인 환자와 보호자들의 의료만족도를 향상시켜 수도권 거점 장애인 구강진료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려는 계획이다. 일반 진료 사업뿐 아니라 앞서 언급된 △비급여 진료비 지원사업 △도내 보건소 공공 치과인력 교육사업 등도 병행하며 경기북부 중심 의료허브로의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 센터장은 “신체적으로 불편함을 가진 장애인들이 치과 치료를 받기까지 접근성이나 치료문턱이 높아 실질적인 치료가 어려웠던 상황”이라며, “치과 치료 사각지대에 놓인 중증장애인들의 편리한 치과 진료를 위해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