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항동 건설현장 1년 사이 인명사고 잇달아. 건설노조 "재발방지 대책 필요"
[고양신문] 최근 고양과 파주 건설현장에서 잇달아 갱폼(대형 거푸집)추락으로 인명사고가 발생하면서 고용노동부가 현장 안전점검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서경지부 고양지대(지대장 이영춘) 소속 건설노동자 20여명은 5일 덕양구 화정동 고용노동부 고양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연이은 중대재해 발생에 대한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3일 쌍용건설이 맡고 있는 장항동 소재 A-4 신혼희망타운 공사현장에서 26층 옥탑의 갱폼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안전망 덕분에 추락한 작업자의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으나 주변에 사람이 있었다면 큰 사고로 이어질 뻔했던 아찔한 상황이었다.
문제는 해당 사고현장이 이미 1년 사이에 두 차례나 큰 사고를 겪었음에도 재발방지 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작년 6월 이곳 현장에서 하이드로 크레인이 전복되어 인명사고가 발생할 뻔했으며 특히 지난달에는 지하 1층에서 지게차 작업을 하던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도 발생했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고양지청 관할구역인 파주에서도 지난 5월 대방건설이 맡고 있는 운정 디에뜨르에듀 센터 현장에서 10층 갱폼이 추락해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에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이미 두 번의 갱폼 추락사고가 발생했고 특히 장항동 공사현장에서는 사망사고까지 발생했음에도 현장노동자들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고용노동부는 아직까지 별다른 조치를 내놓지 않고 있다”며 “몇달 전 인명사고 이후에도 작업중지와 원인규명, 재발방지대책 없이 공사를 강행한 탓에 이런 큰 사고가 발생한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처럼 사고의 원인규명을 위한 고용노동부의 역할을 요구하는 한편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해 노동조합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건설노조 측은 “윤석열 정부는 노사 자치를 통해 현장안전관리를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지만 정작 건설현장은 계속된 탄압과 고용불안으로 노사 자치를 통한 현장안전관리는 꿈도 못꾸는 상황”이라며 “노동조합의 실질적인 참여보장과 노동지청 등 담당기관의 철저한 안전관리가 뒤따라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