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8월 청소업체 신규입찰에 안전매뉴얼, 작업보호차량 신규배치 등 반영
[고양신문] 청소노동자들의 안전문제로 이슈화 됐던 자유로 청소작업과 관련해 고양시가 오는 8월 청소용역 입찰을 앞두고 대대적인 개편에 나선다.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청소작업 안전매뉴얼 도입과 청소차량 충격흡수장치 설치 등이 의무화 됐으며 청소노동자들의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작업보호차량 또한 2대가 투입될 예정이다. 이번 강화된 안전대책을 통해 그동안 크고작은 사고가 반복되어 온 자유로 청소작업이 개선될 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시는 지난 6일 새로운 청소용역 입찰을 위해 ‘자유로 청소용역 과업지시서’를 고시했다. 그동안 고양시는 도로청소업무와 관련해 덕양구 구간과 일산동서구 구간 2개 구역으로 나눠 청소작업을 진행했지만 오는 8월부터는 자유로 구간의 위험성과 작업 특수성을 반영해 덕양구 노면, 일산동서구 노면, 제1,2자유로 구간 등 3구역으로 확대해 분리 발주하기로 결정했다. 계약기간은 오는 8월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다.
가장 눈길이 가는 부분은 그동안 청소노동자들이 요구해온 안전 대책이 대부분 반영됐다는 점이다. 이번 과업지시서에는 현장작업 시 안전확보 기본사항, 인력 및 장비 배치 등 구체적인 내용이 담긴 안전매뉴얼이 첨부됐으며 청소 차량에 부착되는 완충장치 또한 TMA1(추돌속도 60km/h)이상을 장착하도록 명시했다. 특히 자유로 내 쓰레기, 낙하물, 동물사체 등을 처리하는 기동반의 경우 기존 청소차량 5대 외에 8톤 트럭 규모의 작업보호차량 2대가 추가 배치됐다. 작업보호차량 투입은 그동안 현장 노동자들이 줄기차게 요구해온 사안이었다.
그동안 고양시 자유로 구간은 서울과 파주구간과 달리 유일하게 민간용역업체가 청소업무를 맡고 있으며 청소작업 시 안전매뉴얼이 부재해 그동안 사고위험에 크게 노출되어 있었다. 때문에 청소노동자들은 고양시와의 간담회 등을 통해 안전매뉴얼 의무화와 청소차량 충격흡수장치 부착, 작업안전차량 추가 배치 등을 줄기차게 요구해왔으며 지난 5월 시의회 시정질의에서도 이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다.
당시 정민경 시의원(더불어민주당)은 “여태껏 고양시는 파견법을 이유로 청소현장의 안전책임을 용역업체에만 미뤄왔다”고 지적하며 △고양시가 안전매뉴얼을 직접 수립·계획할 것 △노면청소차량 임시배치가 아닌 충격흡수장치가 부착된 작업보호차량을 배치해 노동자들의 안전문제를 해결할 것 등을 주문한 바 있다.
정민경 의원은 “그동안 청소노동자들과 함께 자유로 청소안전 문제와 관련해 집행부에 요구해온 내용들이 대부분 반영된 것 같아서 기쁘다”며 “새로운 업체 선정 후 간담회 등을 통해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계속 살펴보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