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지병원 신경과·예술치유센터 연구팀 국제학술논문 발표
[고양신문] 경증이나 중증 치매 환자 치료에 있어 온라인 화상을 통한 비대면 인지훈련도 대면 치료와 유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명지병원 정영희 교수(신경과)·이소영 센터장(예술치유센터) 팀이 최근 보건학 분야 국제학술지 ‘공중보건 프론티어스(Frontiers in Public Health)’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밝혀졌다.
‘경증-중등도 알츠하이머병 환자에 대한 인터넷 기반 및 대면 인지 중재의 효과’라는 제목의 이번 연구 논문은 알츠하이머병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42명을 대상으로 대면 및 화상을 통한 인지 중재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다.
‘인지 중재’란 비약물적 치매 치료 접근법으로 인지훈련과 예술치료 및 사회활동, 운동 등의 방법으로 약물치료 대신 뇌를 깨우는 활동과 함께 환자를 치료하는 것을 말한다.
연구는 참가자들에게 약물치료와 함께 8주에 걸쳐 인지훈련 및 음악·미술 등 예술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되, A그룹은 4주 대면 치료 후 4주 비대면 치료, B그룹은 비대면 치료 4주 후에 대면 치료를 시행하는 방식을 택했다.
치료 4주 차와 8주 차에 신경 심리검사를 시행한 결과 A, B그룹 모두 인지기능(p<0.001), 우울증(p<0.001), 불안(p<0.001),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p<0.001) 등의 지표가 크게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
특히 4주 차 검사에서 대면 치료를 선행한 그룹이 불안(p=0.009), 일상생활 능력(p=0.023) 등에서는 비대면 치료보다 유의미하게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8주 차에서는 A, B 그룹 모두 대부분 분야에서 유사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
정영희 명지병원 신경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있어 승인된 약물치료와 함께 대면 및 비대면 방식의 인지훈련과 예술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임을 시사한다”며 “코로나19로 인한 장기간 의료 공백 상황에서 치매 환자에 대한 비대면 원격 치료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입증한 결과”라고 말했다.
치매의 흔한 원인 중 하나인 알츠하이머병은 인구 고령화로 인해 발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약물치료는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출 수는 있으나 현재로서는 완전한 치료법이 아니며, 다양한 접근을 통한 치료법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특히 코로나19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대면 인지훈련 등의 치료에 제약이 발생할 때도 인터넷 기반의 화상을 통한 원격 인지 중재 치료로 대체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편, 명지병원은 2013년 공공보건의료사업의 하나로 백세총명치매관리지원센터를 개소한 이래 백세총명학교와 백세총명가족교실을 운영하며 치매 환자는 물론 그 가족에게도 인지훈련과 예술치유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문적이고 전인적인 치유를 제공해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