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 - ‘MICE의 귀환’ 주제 5일 대장정

39개국 780여 명 온·오프라인 참여
아시아 대표 마이스 행사로 발돋움
‘연결’ 통해 MICE 산업은 더욱 부흥
도시마케팅 전담 조직 재정확보 중요 

지난달 24일 열린 ‘2023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의 메인 행사인 국제 데스티네이션 경쟁력 포럼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사진 = 고양시]
지난달 24일 열린 ‘2023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의 메인 행사인 국제 데스티네이션 경쟁력 포럼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사진 = 고양시]

[고양신문] 고양시가 주최하고 고양컨벤션뷰로가 주관한 도시마케팅 관련 국제 행사 ‘2023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가 지난달 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소노캄 고양 호텔과 고양시 일대에서 성황리 에 진행됐다.

‘MICE의 귀환(Return of MICE)’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저명한 국내외 MICE 업계 41명의 연사와 740명의 국내외 참가자(외국인 157명 포함)들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했다. 

대학생부터 일반 시민까지 참여 
올해로 7회차를 맞은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는 1일차(8월 22일)에는 고양컨벤션뷰로가 주최·주관한 ‘고양 MICE 데이’가 개최됐다. 고양시의 특화전략산업인 MICE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시민들을 대상으로 MICE 산업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고양시 대표 전시컨벤션센터인 킨텍스를 답사하는 일정으로 구성됐고, 고양시민 130여 명이 참여했다. 

2일차(8월 23일)에는 국제컨벤션협회(ICCA: International Congress and Convention Association)와 한국MICE협회가 공동 주관한 ‘제2회 아시아 태평양 비즈니스 이벤트 유스 챌린지’ 결승전이 열렸다. 이번 챌린지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30세 이하의 청년을 대상으로 MICE 산업과 관련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출하는 공모전으로, 예선전부터 10개국, 50개 팀이 참여해 치열한 경쟁률을 선보였다. 

글로벌 심사위원들의 공정한 심사를 통해 5개국, 8개 팀이 결승전에 진출했고, 이날 소노캄 고양 호텔 다이아몬드홀에서 최종 PT 발표를 진행했다. 1등 수상의 영예는 호주의 ‘Juniper and Meixner Consulting’ 팀이 차지했고, 2등은 스리랑카 ‘Peralikarayo’팀, 3등은 말레이시아 ‘Phoenix Reborn’ 팀이 선정됐다. 1, 2등 팀은 올해 11월 태국 방콕에서 열리는 국제컨벤션협회 연례 총회(ICCA Congress)에 초청받을 예정이다. 저녁에는 전국에 있는 청년 MICE 서포터즈, 전국대학생 MICE 연합동아리 S.O.M. 등이 모여 챌린지 참가자들과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시아 태평양 비즈니스 이벤트 유스 챌린지 참가자들의 기념촬영. [사진 = 고양컨벤션뷰로]
아시아 태평양 비즈니스 이벤트 유스 챌린지 참가자들의 기념촬영. [사진 = 고양컨벤션뷰로]

MICE 산업 인재 확보·육성 긴요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의 메인 행사인 ‘국제 데스티네이션 경쟁력 포럼’과 ‘개막식’은 3일차인 24일에 열렸다. 개막식에는 고양시 대표 전통공연단 노름마치의 축하공연에 이어 이동환 고양시장의 개회사, 윤은주 2023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 준비위원장의 환영사, 김영식 고양시의회 의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이후 시상식에서는 이동환 고양시장이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를 위해 큰 공헌을 한 서병로 2022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 조직위원장과 와이킨 웡(Waikin Wong) 국제컨벤션협회 아태지부장에게 공로상을 줬고, 센틸 고피나스(Senthil Gopinath) 국제컨벤션협회 CEO가 이동환 고양시장에게 감사패를 전했다.

이동환 고양시장 [사진 = 고양컨벤션뷰로]
이동환 고양시장 [사진 = 고양컨벤션뷰로]

국제 데스티네이션 경쟁력 포럼 첫 번째 기조 강연은 한국을 처음 방문한 센틸 고피나스(Senthil Gopinath) 국제컨벤션협회 CEO가 ‘빛나는 부활 – 글로벌 비즈니스 이벤트의 저력’이라는 주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MICE 산업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는 상황을 전하며 “이해 관계자들 간 연결을 통해 MICE 산업은 더욱 부흥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황희곤 경남관광재단 이사장이 이끄는 대담에서는 류재원 킨텍스 사업부사장과 피터 킹(Peter King) 호주비즈니스이벤트협회 회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기조강연에 나선 센틸 고피나스(Senthil Gopinath) 국제컨벤션협회 CEO [사진 = 고양컨벤션뷰로]
기조강연에 나선 센틸 고피나스(Senthil Gopinath) 국제컨벤션협회 CEO [사진 = 고양컨벤션뷰로]

세션 1은 아비나쉬 찬다라나(Avinash Chandarana) MCI 그룹 글로벌 교육 이사가 ‘MICE 업계 인력 해결방안 - 인재 보유 및 확보’라는 주제로, 현재 MICE 업계에 있는 인력이 외부로 유출되고 있음을 설명하며 임직원 보상, 일하기 좋은 근무환경 조성 등을 통해 인재를 보유·확보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주제강연 이후에는 이은성 동덕여자대학교 교수가 좌장이 돼 하홍국 한국MICE협회 사무총장, 김희영 한국PCO협회 부회장, 김태연 마이스태프 대표, 박주영 고양 청년 MICE 서포터즈와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세션 2는 아멜리아 로지만(Amelia Roziman) 사라왁컨벤션뷰로 CEO가 ‘열정이 레거시를 만든다’라는 주제로, 레거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라왁이 얼마나 마이스 레거시 프로젝트를 잘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례를 발표했다. 주제강연 이후에는 윤유식 경희대학교 교수가 좌장으로 나서 배영철 대구컨벤션뷰로 대표, 김미성 경희대학교 연구교수, 제인 봉 홈즈(Jane Vong Holmes) 게이닝엣지(GainingEdge) 상임이사, 손동숙 고양시의회 환경경제위원장과 패널토론을 이어갔다.

지속가능한 도시 성장 전략 토론
오후에 시작된 두 번째 기조 강연자는 장 클로드 라레쉬(Jean-Claude Larreche) 인시아드(INSEAD) 마케팅 석좌교수였다. 그는 ‘도시의 미래성장전략 – 가치 중심의 마케팅’이라는 주제의 발제에서 “도시가 지속해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가치를 창출해야 하는데, 이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충족시켜주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두철 연세대학교 교수가 이끄는 대담에는 안드레스 귀랄(Andres Guiral) 연세대학교 교수가 대담자로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세션 3은 온라인으로 참여한 클라라 페르난데즈 로페즈(Clara Fernandez Lopez) 국제협회연합(UIA) 대외협력 이사가 ‘협학회 회의 글로벌 트렌드’라는 주제로 팬데믹 이후 변화된 협학회 회의 트렌드에 대해 설명했다. 주제강연 이후에는 서병로 건국대학교 교수가 좌장이 돼 박효연 전남대학교 교수, 정성은 이도플래닝 대표, 김태환 한국산업지능화협회 부회장, 김미소 라우트컴퍼니 대표, 진선미 한국PCO협회 사무국장과 패널토론을 펼쳤다.

온라인으로 발제가 진행된 세션 4의 주제는 ‘MICE는 비즈니스다’였다. 미국에서 실시간으로 참여한 그레이터 보스턴 컨벤션뷰로 마타 셰리단(Martha Sheridan) CEO는 MICE 산업의 파급효과에 대해 미국 전체가 이미 실감하고 있다고 전하며 MICE 산업 확대를 위한 그레이터 보스턴 지역의 여러 노력을 소개했다. 주제강연에 이은 패널토론에는 좌장을 맡은 진홍석 한국마이스융합리더스포럼 회장, 이화봉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교수, 마이스임팩트 손정미 소장, 파인즈커뮤니케이션즈 마송희 대표가 참여했다. 

ICCA 아시아태평양 비즈니스 발전 포럼 [사진 = 고양컨벤션뷰로]
ICCA 아시아태평양 비즈니스 발전 포럼 [사진 = 고양컨벤션뷰로]

각국 컨벤션뷰로·베뉴와 B2B 상담도
올해 고양 세션은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의 레거시 창출을 위한 특별 세션으로, 글로벌 MICE 컨설팅 기업인 게이닝엣지(GainingEdge)와 미국 법률회사인 시비타스(CIVITAS)에 사전의뢰한 ‘지속가능한 CVB 모델’에 대한 결과가 공유됐다. 발표에 나선 GainingEdge의 개리 그리머(Gary Grimmer) 회장은 고양시를 사례로 내세우며 MICE 도시로서의 경쟁력, 앞으로의 개선방안, 고양컨벤션뷰로와 같은 도시마케팅 전담 조직을 비롯한 국내 컨벤션뷰로들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재정확보 모델을 제안했다. 자세한 내용은 향후 최종보고서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고 고양컨벤션뷰로 홈페이지에서도 내려받을 수 있다. 

4일 차(8월 25일)에는 고양컨벤션뷰로와 국제컨벤션협회(ICCA)가 공동 주관하는 ‘ICCA 아시아태평양 비즈니스 발전 포럼’이 개최됐다. ICCA 아시아태평양 회원사와 국내 MICE 관계자 150여 명이 참여한 포럼은 다양한 교육 세션과 비즈니스 네트워킹으로 구성됐다. 특히 국내에 있는 국제 협·학회 관계자와 기업들이 바이어로 참여해 각국의 컨벤션뷰로, 베뉴 등과 활발한 B2B 상담을 진행하기도 했다.

5일차(8월 26일)에 진행된 해외참가자 대상 관광 프로그램은 DMZ 방문과 한국문화체험으로 구성됐다. DMZ 방문 코스에서는 임진각 평화곤돌라를 타고 임진강 너머의 갤러리 그리브스를 방문한 데 이어 고양시 해찬송학김박물관에서 김밥 만들기, 한복과 한국 음식 체험 등 참가자들이 한국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이상열 고양컨벤션뷰로 사무국장은 “올해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는 시민 대상 프로그램 신설, 동시 세션 개최, 행사 기간 5일로 연장 등을 통해 MICE 전문 위크(Week) 행사로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한 단계 성장했다”며 “앞으로도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가 MICE 도시로서의 고양시를 국내외에 알리고, 고양시 MICE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더욱 내실을 다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