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장 대표로 서울시측 만나
향후 회의 운영방향 정해
소위원회⟶실무회의 열기로 
덕은지구 입주, 협의 절실  

[고양신문] 서울시가 운영하는 고양시 내 기피시설 피해 문제를 놓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고양시와 서울시 간 공동실무회의가 약 2년 10개월 만에 재개됐다. 

고양시-서울시 공동실무회의는 2019년 첫 회의를 시작으로 2020년까지 5차례 진행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서울시의 외면 등으로 인해 중단됐었다. 그러다가 지난 19일 고양시에서는 박원석 고양시 제1부시장(2급)을 대표로 한 담당 공무원들이, 서울시에서는 정상훈 행정국장(2급)을 대표로 하는 담당공무원들이 만나 공동실무회의를 열었다. 

이날 공동실무회의에서는 향후 공동실무회의 운영방안에 대해 협의를 했다. 이날 합의된 것은 고양시-서울시 각각 소위원회(실무부서) 간 만나 어느 정도 합의점에 도달하면 공동 실무회의를 열기로 했다는 점이다. 고양시 소통협치담당관 담당자는 “협의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먼저 소위원회(실무부서)가 서로 만나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합의점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후에 공동 실무회의를 열어 합의점에 대해 세세한 부분을 조율하는 것으로 회의 운영방향을 정했다”고 전했다. 

기피시설 피해 문제를 놓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공동실무회의가 19일 열렸다. 사진에서 오른쪽 테이블에 박원석 고양시 제1부시장을 중심으로 고양시 공무원들이 앉아있고, 왼쪽 테이블에는 서울시 측이 앉아 있다. 사진제공 = 고양시. 
기피시설 피해 문제를 놓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공동실무회의가 19일 열렸다. 사진에서 오른쪽 테이블에 박원석 고양시 제1부시장을 중심으로 고양시 공무원들이 앉아있고, 왼쪽 테이블에는 서울시 측이 앉아 있다. 사진제공 = 고양시. 

기피시설에 따라 고양시의 담당 실무부서가 다른데 승화원의 경우 노인복지과, 난지물재생센터는 하수행정과, 폐기물처리시설(소각장)·음식물처리시설은 자원순환과가 담당하고 있다. 각 기피시설 문제와 관련 고양시-서울시 간 소위원회 협의 일정이 정해지면, 고양시는 담당부서를 중심으로 한 소위원회를 상황에 맞게 구성하게 된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고양시 내 기피시설은 △벽제화장장(서울시립승화원) △벽제묘지(서울시립묘지) △제1추모의집(봉안당) △난지물재생센터 △마포구 폐기물처리시설 △서대문구 음식물처리시설 등이다. 이들 6개 외에 서울시는 작년 8월 고양시 대덕동 인근에 위치한 상암동 일대에 쓰레기소각장을 추가 건립하겠다고 기습 발표했다. 이미 하루 750톤을 소각하고 있는 마포구 소각장 옆에 1000톤이 넘는 쓰레기소각장을 추가 설치하겠다는 내용으로 특히 고양시와 사전 협의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해 반발이 높아지고 있다. 

더구나 공동 실무회의가 중단된 약 2년 10개월 동안 덕은지구 4700여세대 입주 등 기피시설 주변 여건이 급격하게 변화했다. 피해 주민 또한 급증했고 그 갈등도 커져가는 상황이다. 덕은지구 왼편에는 난지물재생센터가 있고, 오른편에는 마포 소각장이 있다. 마포 소각장은 오는 2035년 철거하기로 하고 이 일대에 보다 큰 소각장을 짓기로 한 것. 

때문에 고양시는 어떻게든 서울시와 기피시설 피해 문제를 놓고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논의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박원석 고양시 제1부시장은 “기피시설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지역주민의 이해와 동의가 최우선임을 전제하고 서울시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주문했다. 박 부시장은 또한 “해당시설이 도시 운영에 필요한 기반시설임에는 공감하나 이제는 삼송, 덕은지구 등 택지개발로 인한 대규모 인구 유입으로 기피시설 주변 환경이 급변한 점을 감안할 때 현시점에서는 서울시 역내 또는 타 지역으로 이전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시기”임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