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편입 추진 요구에 '속도 조절'
‘수도권 재편’ 논의로 전환 제안

이동환 고양시장
이동환 고양시장

[고양신문] 김포시장과 국민의힘 지도부의 ‘김포시 서울 편입’ 추진 발표 여파로 고양시에서도 일부 정치권과 시민단체들이 “고양시도 서울로 편입하자”는 주장을 강하게 표명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이동환 고양시장이 당장은 고양시 서울 편입 논란에 편승할 생각이 없음을 밝혀 주목된다. 

이 시장은 지난 7일자 동아일보 오피니언 기고를 통해 ‘우려반 기대반’이라는 심경과 함께 고양시 서울 편입 논란에 대한 본인의 입장을 표명했다. 기고문 핵심 내용은 ‘서울 편입’ 대신 ‘수도권 재편’이라는 개념으로 논의를 전환하자는 제안이다. 

이 시장은 가장 먼저 일부 시민단체가 고양시 곳곳에 현수막을 내걸며 ‘고양시 서울 편입 적극 찬성’ 입장을 밝힌 데 대해 “일부 시민단체 의견을 보편화할 수 없다”며 명백한 거리두기를 했다. 현수막을 게시한 대표적 단체들이 파랑새시민연대, 고양워킹포럼 등 평소 이동환 시장의 정책을 적극 지지해온 그룹이라는 점에서 이 시장의 선 긋기는 향후 행정구역 재편 논란을 시장 주도로 이끌어가겠다는 의지 표명으로 읽힌다. 

파랑새시민연대와 고양워킹포럼 이름으로 게시된 '고양시 서울 편입' 지지 현수막.
파랑새시민연대와 고양워킹포럼 이름으로 게시된 '고양시 서울 편입' 지지 현수막.

다음으로 눈에 띄는 점은 “고양시의 경우 과거 일부 지역이 행정구역 개편으로 서대문구와 은평구 등이 되며 서울의 일부가 된 적이 있다”는 점을 언급한 대목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고양시 일부 지역의 분할 편입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이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지역에 따라 ‘덕양 우선 편입’ 등 다양한 요구들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 시장의 언급 하나하나가 다양한 해석을 낳고 있다.

이어 이 시장은 기왕에 촉발된 논란을 ‘수도권 재편’ 논의로 전환하면 민선8기 고양시정의 ‘1호 공약’인 경제자유구역 추진과 함께 자족기능을 제고하는 또 하나의 선택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정 주요 정책의 지속적 추진과 행정구역 재편 논의가 공존할 수 있는 나름대로의 논리를 제시한 셈이다.

기고문을 통해 이동환 시장은  △국가적·정부적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고 △해당 지자체와 정부를 포함한 다자협상을 통해야만 추진 근거가 생긴다며 ‘서울 편입’이 아닌 ‘수도권 재편’으로 논의를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 이 시장은 “수도권 재편이 대규모 택지개발 등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주택만 들어선 고양시의 부족한 자족기능을 회복하는 촉매제가 되길 기원한다”는 말로 기고문을 마무리했다. 

한편 이번 사안과 관련해 고양시 국민의힘에서는 권순영 고양갑 당협위원장과 김종혁 고양병 당협위원장이 즉각적으로 ‘김포도 고양도 서울특별시로!’ ‘경기북도 NO! 서울특별시 YES!’ 등 고양시 서울 편입을 적극 지지하는 현수막을 내걸은 바 있어 여권 내에서도 당론 조율을 위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권순영 국민의힘 고양갑 당협위원장이 내건 현수막.
권순영 국민의힘 고양갑 당협위원장이 내건 현수막.
김종혁 국민의힘 고양병 당협위원장이 내건 현수막.
김종혁 국민의힘 고양병 당협위원장이 내건 현수막.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