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후 12년간 가동 안돼 
시 “막대한 운영비 감당 어려워” 
내년 추경 설계용역예산 반영

[고양신문] 고양시가 설치 후 12년 동안 사용하지 못하던 덕이구역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시설물을 철거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고 이를 위해 내년에 설계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 자원순환과 담당자는 “지상에 있는 쓰레기 종량제봉투 투입구를 철거하고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관로도 따로 처리하기 위한 설계용역 예산을 내년 추경을 통해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쓰레기 종량제봉투를 투입구에 넣으면 쓰레기는 지하에 매설된 관로를 통해 공동주택 구역 바깥의 폐기물 집하장소로 이송하는 시설이다. 덕이구역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2011년 덕이구역 도시개발사업 조합이 덕이동에 아파트 약 5126가구를 건설하면서 250억원을 들여 설치했다. 당시 자동집하시설은 조합이 일정 기간 운영한 뒤 고양시가 기부채납 받기로 했다. 그러나 조합은 2011년 당시 채무가 쌓이자 부도위기를 겪으면서 연간 8억원에 달하는 자동집하시설 운영비를 부담할 수 없어 결국 시스템 운영을 중단했다.

12년 동안 사용하지 못하던 덕이구역 자동집하시설 중 지상에 설치된 쓰레기 종량제봉투 투입구.
12년 동안 사용하지 못하던 덕이구역 자동집하시설 중 지상에 설치된 쓰레기 종량제봉투 투입구.

또 2012년 고양시의회(제167회 임시회)에서 공유재산 취득이 부결되면서 기부채납이 처리되지 않아 현재까지 시설은 운영이 중단된 채로 남아 있다. 이로 인해 입주민들은 대지권 등기가 막히면서 12년이 넘도록 재산권 행사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고충이 뒤따랐다.

지난 10월 ‘덕이지구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문제해결 촉구 결의안’을 대표 발의한 김학영 시의원은 “집하시설은 정상가동 전에 시험가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시험가동을 할 수 있는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시설 미비 문제로 시험가동이 지연됐다”고 말했다. 

‘덕이지구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문제해결 촉구 결의안’이 시의회를 통과한 후 지난해 11월 말 덕이구역 주민 약 1만 명은 재산권 행사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덕이동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현안해결을 촉구했다. 시는 지난 3월부터 주민, 조합, 시의회와 함께 해결 방안을 마련해왔다.

이에 시는 덕이구역 자동집하시설 지상시설물 철거와 지하시설 매몰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비록 250억원의 설치비용이 들어갔지만 시가 기부채납 받아 덕이구역 자동집하시설을 운영할 경우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다는 이유를 들어 덕이구역 자동집하시설을 없애는 것으로 결정했다. 시 자원순환과 담당자는 “현재 덕이구역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약 12년 동안 가동이 중단돼 시설이 노후화된 상태다. 정상운영을 위해서는 노후관로 개선 등 전면보수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사용연한이 20년에 불과하기 때문에 12년 가까이 지난 현 시점에 시설을 보수해 사용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또 시설 운영 시 매년 8억원의 시설 운영비가 추가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