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관련 용역 완료
역사박물관⟶공립박물관
이름 바꾼 채 또 예산요구
[고양신문] 고양시의 역사박물관 건립이 진척되지 못하고 연구용역 단계에만 계속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고덕희(식사·풍산·고봉동) 시의원은 지난 19일 열린 고양시의회 시정질문을 통해 “고양은 611년째 동일지명을 사용하고 세계문화유산, 국립공원, 한강을 품은 유구한 역사를 지닌 곳이지만 정작 공립역사박물관은 없는 상태”라며 “이제 더 이상 역사박물관 용역으로 시간과 재원을 낭비하지 말고 하루 속히 기존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박물관 건립을 추진하라”고 요구했다.
고양시는 전임시장인 이재준 시장 재임 때인 2018년 3월부터 ‘고양시 역사박물관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진행, 다음해인 2019년 1월 최종보고서를 도출했다. 이 연구용역을 통해 고양 역사박물관 부지로 1차 13곳이 선정됐고, 이후 건립추진위원회와 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덕양구청 옆 공공청사 부지 △고양어울림누리 △행주산성 인근(시정연수원) △어린이박물관 등 총 4개소가 선정됐다.
또한 공청회를 통해 유물전시보다 차별화된 콘텐츠와 스토리 중심의 박물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반영된 박물관 건립의 기본방향 등도 이미 마련됐다.
그런데 이동환 시장이 취임하고 난 후 기존 용역과 유사한 ‘공립박물관’ 건립 용역을 추진하려고 시의회에 예산을 여러 차례 요구했다. 고덕희 의원은 “기존 용역 결과를 무시하고 고양시는 2023년도 예산에 공립박물관 건립비용 2억원을 세웠다가 삭감됐고, 다시 2024년도 본예산에 1억4000만원의 용역예산을 세웠으나 또 삭감됐다”고 지적했다. 고양시의회가 해당예산을 삭감한 이유는 “용역 예산의 중복성‘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공립박물관 건립 용역 예산이 시의회에 의해 거듭 삭감되자 이동환 시장은 시 문화예술과에 자체적으로 용역을 진행할 것을 지시했다. 시 문화예술과는 지난 1월부터 유물조사와 공립박물관 건립 기본구상안을 직접 수립하고 있다. 다만 공립박물관이 지어질 후보지에 대한 비용분석은 타 기관의 용역을 통해 이뤄지게 된다. 이 용역은 ‘고양 공립박물관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으로 7000만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시는 ‘제1회 고양시 추경안’에 이 예산 7000만원을 포함시켜 시의회 통과를 기대하고 있다.
시에 따르면 2019년 마무리된 기존 용역이 ‘역사’에 초점을 맞췄다면 ‘고양 공립박물관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의 취지는 이와 다르다. 역사 콘텐츠를 포함하되 역사 외에 고양시의 장점과 특징을 담을 수 있는 종합 박물관을 건립하겠다는 취지다.
고양시 문화예술과 담당자는 “2019년 마무리된 연구용역은 역사에 한정된 박물관을 건립하기 위한 연구용역이었다. 그런데 역사라는 하나의 범주만으로 시립박물관을 짓는 추세는 지났다. 지자체의 장점과 특징이 담긴 차별화된 시립박물관을 짓는 것이 요즘 추세다. 문체부도 이러한 점을 고려해 시립박물관을 허가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건축비 상승과 2019년 결정된 후보지의 교통 등 환경변화도 연구용역을 새로 시작하는 이유로 들었다. 이 담당자는 “2019년 마무리된 연구용역에서 산출된 건립비용이 건축비가 많이 오른 지금과 다르다. 또한 당시의 고양시 역사박물관 건립 후보지의 교통여건과 상황이 지금과 많이 다르다. 이 때문에 변화된 건축비와 후보지 환경을 반영한 용역을 새로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