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6년까지 사업완공 목표. 넷제로 흐름 역행 지적도
[고양신문] 일산신도시 개발과 함께 지어진 일산열병합발전소가 내구연한 30년을 맞아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 LNG(천연가스) 연료방식과 설비용량을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등에 대해 최신 환경설비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지역 환경단체 등을 중심으로 2050년 넷제로 정책기조에 따라 신규 가스발전소 용량을 축소하거나 폐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일산열병합발전소를 운영하는 한국동서발전(주)에 따르면 2036년 설비 준공을 목표로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2022년 9월 발전설비 현대화 사업을 위한 사전 타당성조사 용역을 진행했으며 작년 1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해당 사업이 조건부 반영됐다. 발전소 측은 올해 상반기 중으로 산업통상부 발전사업 변경허가 신청을 마친 뒤 하반기 기재부 예비타당성조사와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내년 착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현대화 사업 추진 이유는 신도시 개발 당시 지어진 일산열병합발전소의 설계수명이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1기 신도시 개발 당시 안양, 부천, 성남 등과 마찬가지로 LNG를 이용한 발전 방식으로 설립된 일산열병합발전소는 세월이 지남에 따라 시설노후화 문제에 봉착했다. 한국동서발전 측이 제공한 설명자료에 따르면 일산열병합발전소는 총 2기의 발전소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각 1993년과 1996년에 완공됐다. 제1발전소의 경우 작년 2023년 발전소 설계수명인 30년을 경과했으며 제2발전소 또한 내구연한 30년(2026년)을 앞두고 있다. 설비가 노후화되면 발전효율이 떨어지는 만큼 고효율의 최신설비 교체를 통해 LNG연료 사용량도 줄이고 오염물질 배출도 최소화한다는 게 발전소 측의 설명이다.
구체적인 사업 개요는 다음과 같다. 현 부지면적 4만5000평(1만5590㎡)에 기존 1발전소 600㎿, 제2발전소 300㎿의 시설을 대체하는 발전소 2곳(각 450㎿)을 신규 설치한다. 공백없는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10년의 기간을 두고 1호기 신규 건설과 기존호기 철거, 2호기 신규 건설과 기존호기 철거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LNG연료를 활용한 발전방식은 그대로 가져가되 저NOx 버너, Hybrid 백연방지설비 등 최신 환경설비를 도입한다.
한국동서발전 일산발전본부 관계자는 “현대화 사업을 통해 발전효율이 10% 증가하고 연료사용량이 26% 감소하는 한편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가 각각 70%, 20% 저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고양시에 안정적인 전력·열공급은 물론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일산열병합발전소 현대화 사업을 두고 환경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석탄 등 다른 화석연료에 비해 안전하다는 평가가 있긴 하지만 어쨌든 LNG를 통한 발전방식 또한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이다. 박평수 고양기후위기비상행동 상임대표는 “천연가스 발전방식 또한 엄밀히 말하면 화석연료발전에 해당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마치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청정연료인 것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며 “실제 연구자료를 보면 가스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등의 문제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이 낸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스발전소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에 의해 2021년 기준 431명의 ‘조기사망’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운영될 가스발전 계획까지 고려하면 조기사망자 수는 2064년까지 최대 2만3200명까지 누적될 것으로도 예측되고 있다. 2030년 넷제로 정책에 발맞춰 가스발전 규모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고양시를 비롯한 수도권 지역의 경우 인구가 밀집해 있는 만큼 가스발전으로 인한 피해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성남시 분당열병합발전소의 경우 작년부터 기존 발전용량 대비 100㎿ 가까이 증설하는 방향으로 현대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환경피해를 우려하는 주민들로부터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박평수 대표는 “현대화 사업에 앞서 가스발전의 문제점과 신재생에너지 전환 필요성 등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며 “당장 폐쇄가 어렵다고 해도 적어도 가스발전 용량을 축소하는 방향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