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억 규모 통합·현대화에
주민·시의회 이전촉구 반발
고양시-1군단 합의각서 추진
향후 필요시 이전조항 포함
[고양신문] 주민들의 이전 요구가 높은 일산서구 대화동 예비군훈련장에 대해 일단 현대화(과학화)사업을 추진하고 추후 이전 가능성을 열어둘 것으로 보인다. 고양시는 이같은 내용으로 조만간 국방부와 합의문을 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8일 시 도시계획담당관 관계자는 “최근 일산 예비군훈련장을 관할하는 1군단 측과 협의를 거친 결과 일단 국방계획에 따라 과학화 사업을 추진하되 향후 개발사업 등에 따른 이전 필요성이 제기될 경우 예비군 훈련장을 이전한다는 조건으로 합의점에 도달했다”며 “현재 이 내용을 기반으로 한 합의각서 초안을 마련했으며 다른 문제가 없을 경우 조만간 국방부와 합의문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국방부는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파주 예비군훈련장과 송포동 예비군훈련장을 폐쇄하고 13만7244㎡의 대화동 예비군훈련장에 약 500억원 규모의 과학화 사업을 추진해왔다. 주요 사업내용은 영상 모의 사격훈련장과 실내사격장 등 최신 시설을 갖춘 과학화 예비군훈련장 사업과 관리부대 통합 추진 등으로, 지난 2022년 7월 고양시에 새로운 훈련장 조성을 위한 건축행위 허가를 신청한 바 있다.
하지만 이같은 대화동 예비군훈련장 과학화사업 추진에 지역주민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인근 대화동 주민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대화동 군부대 이전 추진위원회’는 현대화사업이 아닌 부대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걸고 있으며 이러한 목소리에 맞춰 고양시의회도 작년 말 이전촉구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당시 김운남 시의원(현 시의회 의장)이 주도한 촉구 결의안 내용을 살펴보면 “과학화 훈련장추진은 일산테크노밸리, CJ라이브시티, 킨텍스 등 고양시 주요 사업시설과 연계성 단절로 인한 도시 미래발전 훼손과 도시기능 단절이 심각하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고양시의 장기 도시계획 관점에서 대화동 예비군훈련장 이전은 불가피하다. 국방부는 주거환경, 도시 경관 보호, 미래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이 우려되는 대화동 예비군훈련장의 과학화사업을 전면 중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고양시는 장기적으로 이전 필요성에 대해 인정하면서도 현실적 관점에서 현재 대화 예비군훈련장 과학화사업에는 협조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이미 국방부가 17억원의 예산을 들여 설계용역을 마친 상태이고 행정 절차상 도시계획 변경과 같은 중대한 허가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사실 시 입장에서 마냥 과학화사업을 막을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다만 예비군훈련장 부지는 현재 시가 추진 중인 경제자유구역 후보지에 속하는 만큼 향후 고양시 필요에 따라 이전할 수 있도록 합의문에 반영한 것”이라고 답했다.
고양시와 협의를 마친다고 해도 실제 대화 예비군훈련장 과학화사업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여전히 거쳐야 할 관문이 남아있다. 가장 큰 장벽은 국회 예산 통과 여부인데 앞서 작년 해당 사업을 위해 올라왔던 ‘1군단 예비군훈련대 부대개편’ 예산 70억원이 당시 일산서구 지역구 소속이었던 이용우 전 국회의원의 반발로 전액 삭감됐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인 김영환 의원(더불어민주당) 또한 현재 예산 전반을 관할하는 기획재정위원회 소속인 만큼 국방부 입장에서는 지역구 의원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김영환 의원실 지역관계자는 “앞서 7월경에 군 당국이 대화 예비군훈련장 과학화사업과 관련한 협조 요청을 해왔고 의원실 차원에서 합의문에 고양시가 원할 경우 조건없이 이전하겠다는 조항을 반드시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다”라며 “자칫 국방부가 과학화사업을 핑계로 이전 합의를 거부하고 현재 대화 예비군훈련장 자리에 계속 버티고 있을 수도 있는 것 아니냐. 굳이 과학화사업을 하겠다면 나중에라도 고양시 도시발전을 위해 언제든 부대를 이전시키겠다는 국방부의 확약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