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직권취소로 이어지도록 
시민과 함께 10만 서명 시작

지난 7일 ‘산황산골프장증설백지화범시민대책위원회’는 직권취소 청원 서명 10만명을 이루기 위한 첫출발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지난 7일 ‘산황산골프장증설백지화범시민대책위원회’는 직권취소 청원 서명 10만명을 이루기 위한 첫출발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고양신문] 산황산에 골프장 증설(9→8홀)을 결정한 고양시의 도시관리계획에 대해 직권취소 청원을 시작하는 기자 회견이 지난 7일 열렸다. ‘산황산골프장증설백지화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이날 시민과 여야 지역정치인들과 함께 참여해 직권취소 청원 서명 10만 명을 이루기 위한 첫출발을 기자회견으로 알렸다. 

이날 기자회견은 대책위 위원들의 자유발언으로 시작했다. 노승영 고양 녹색당 운영위원은 “멀쩡한 산황산의 그린벨트를 훼손해서 골프장을 증설하는 것이 부당함에도 10년 동안 계속 추진하다보니 현재는 당연시하는 시각이 있다. 첫 단추가 잘못 꿰어진 골프장 증설에 대해 고양시가 나서 직권취소를 함으로써 산황산이 보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김해련 고양시의원은 “산황산에 지어지는 골프장에서 294m 떨어진 곳에 고양시민들에게 물을 공급하는 정수장이 있다. 아파트단지 주민들은 골프장에서 나오는 비산먼지와 농약의 영향거리 안에 있다. 시민의 건강권을 위해서라도 골프장이 증설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김지영 동녘교회 교인은 “기후위기 시대에 산황산 골프장을 증설한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숲의 가치를 높여야 하는 시기이고 우리 아이들에게 숲을 하나의 삶이 터전으로 물려줘야 함에도 골프장 증설 시도가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 이는 시대에 역행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이어 대책위는 기자회견문을 낭독하며 도시관리계획 직권취소 요구 이유를 알렸다. 대책위는 “산황산은 고양시에 긴요하고 건강한 그린벨트”라며 “그럼에도 훼손된 그린벨트인 것처럼 서류가 작성돼 행정절차가 진행됐고 골프장이 도시관리계획 시설로 승인되기에 이르렀다”면서 도시관리계획 승인의 부당함을 지적했다. 이어 “골프장이 명목상 기반시설이지만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기반은 골프장이 아니라 자연숲”이라며 “숲을 훼손해 발생할 환경 순기능 상실과 골프장에서 발생시킬 압도적 환경위해 모두를 시민들이 감수해야 하는데 그럴 수 없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또한 “이동환 고양시장이 산황산 골프장 도시관리계획을 취소함으로써 세계적인 환경도시 고양시의 새출발을 알리기 바란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