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등소유자의 20%만 투표
주민동의 확보 쉽지 않을 듯
민간재개발 추진 주민과 대립
곳곳 공공재개발 반대 현수막
[고양신문] 고양원당6·7구역 공공재개발을 위한 ‘주민준비위원회’ 대표자(주민준비위원장)가 선거를 통해 선출됐다. 경기주택도시공사(이하 GH)가 주민준비위원회 대표자 선출을 위해 사전투표(7월 30일~8월 11일)와 본투표(8월 12일)를 실시한 결과, 지금까지 고양원당6·7구역 주민들 사이에서 공공재개발 추진을 가장 적극적으로 주도했던 김동원씨가 당선됐다.
토지등소유자로서 선거권을 가진 2484명 중 이번에 사전투표와 본투표를 한 이는 507명이었다. 투표율을 따지면 투표에 참가한 507명 중 김동원씨는 464표를 얻었다. 김씨 외에 선거에 나선 박현정씨는 42표를 얻는 데 그쳤다.
GH는 주민준비위원회 대표자 입후보 등록을 사업대상지 인근 현장사무실에서 지난달 17~24일 8일간 실시한 결과, 김동원·박현정 두 사람으로 후보자로 결정했다. 이 두 사람은 고양원당6·7구역 토지등소유자 100인 이상의 추천을 받았었다.
주민준비위원회는 고양원당6·7구역의 향후 공공재개발사업 요건이 갖춰지면 사업 시행자가 될 GH와 협업을 시작할 주민 측 조직이다. 역할은 홍보와 주민상담, 사업추진을 위한 각종 동의서 징구 등이다.
하지만 주민준비위원회는 법적으로 승인받지 못하고 있어 ‘주민대표회의’로 발전해야 한다. 주민준비위원회가 공공재개발에 대한 주민동의 수준을 토지등소유자의 50%로 높인다면, 고양시가 법적으로 인정하는 ‘주민대표회의’가 된다. 김동원 주민준비위원장은 “주민준비위원회가 추진준비위원회 성격을 가진다면 주민대표회의는 조합의 성격을 지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고양원당6·7구역 공공재개발 사업이 추진되려면 토지등소유자 3분의 2(66.7%)의 동의가 필요한데, 이번 주민준비위원회 대표자 선거에 참여한 이의 규모로 보아서는 공공재개발 추진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김동원 주민준비위원장은 투표에 참여한 주민(507명)의 91.5%(464명)의 득표율을 얻었지만, 전체 토지등소유자(2484명)에 대입하면 겨우 18.7%만의 득표율에 불과하다.
실제 고양원당6·7구역에는 공공재개발이 아니라 민간재개발을 원하는 주민들이 많다. 이다겸 원당6구역 민간재개발 추진준비위원장은 “원당 6구역의 민간재개발 동의율은 45% 정도 나왔고 원당7구역의 민간재개발 동의율은 70% 정도 나왔다. 원당6구역, 원당7구역의 토지등소유자는 민간재개발에 대한 동의율이 높은 상태”라며 “공공재개발 추진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민간재개발을 추진하는 주민들은 고양원당6·7구역 곳곳에 ‘공공재개발 반대’ 현수막을 걸어놓고 GH와 김동원 주민준비위원장 주도의 공공재개발 저지에 나서고 있다.
원당6·원당7구역은 2007년 원당 재정비촉진지구(뉴타운)로 지정됐지만 큰 진척 없이 사업이 표류하던 끝에 2018년 제척되어 지구해제 된 곳이다. 인접해 있는 원당4구역이 지하 6층~지상 36층, 1236가구(11개동)의 아파트단지가 들어서 오는 9월 입주를 앞두고 있는 데 반해 원당6·원당7구역은 상대적으로 재개발 열기가 한풀 꺾였던 곳이었다.
그런데 2021년 7월 경기도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광명7R구역, 화성 진안 1-2구역과 함께 선정되면서 재개발 기회가 다시 찾아왔다. GH에 따르면 원당6·원당7구역 공공재개발 사업은 16만2311㎡(약 4만9000평)에 총사업비 2조992억원으로 4110세대의 아파트를 공급하는 사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