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슬레이트 건축물 실태조사
3년 전 조사 당시 799개 동 확인
10월 말까지 마을 단위 전수조사 후
‘슬레이트 철거·개량 지원사업’ 유도
[고양신문] 고양시가 시 전역에 산재한 슬레이트 건축물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조사 목적은 1급 발암물질 석면이 포함된 슬레이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다.
실태조사는 마을 사정을 잘 아는 각 동 통장들이 마을 곳곳을 방문하며 체크하는 직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된다. 담당부서인 기후에너지과 관계자는 “각 동에서 올라오는 수치를 취합해 10월 말 고양시 슬레이트 건축물 현황에 대한 정확한 통계가 작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양시 가장 최근의 실태조사는 3년 전인 2021년에 진행됐다. 당시 총 799개 동의 슬레이트 건축물이 고양시에 남아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중 대다수는 주거용 건물이고, 축사와 창고 등에도 슬레이트가 사용됐다.
조사를 통해 파악된 자료는 ‘슬레이트 철거·지붕개량 지원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2011년 처음 시작된 지원사업은 건물주가 슬레이트를 철거하면 지붕 개량비용 등을 시가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올해 책정된 관련 예산은 1억3940만원으로, 총 35동 건축물의 철거와 개량사업을 지원할 수 있는 규모다.
슬레이트는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함께 널리 보급됐다. 당시 농촌과 변두리 지역을 중심으로 초가지붕을 허물고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한 슬레이트가 지붕자재로 각광을 받았던 것. 하지만 슬레이트에 포함된 석면의 위험성이 알려지면서 2009년부터 전면 사용이 금지됐고, 기존의 슬레이트 건축물도 순차적으로 철거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1차적으로 건축물대장을 적극 활용하고 덧씌움 지붕, 소규모 슬레이트 사용 등 기존에 확인이 어려웠던 부분까지 최대한 빠짐없이 파악해 슬레이트 철거·처리 지원 사업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