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김포, 연천 위험구역 설정
도 특사경 50명 등 현장순찰 진행
파주 시민사회 "물리적 봉쇄 나설 것"
[고양신문] 최근 납북자가족단체가 대북전단 살포를 예고한 가운데 경기도와 시민사회 등이 강력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혀 결과가 주목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3일 북한과 인접한 파주시 대성동을 방문해 대남 확성기 방송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주민들을 만난 자리에서 “(대북전단 살포에 대해)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강력하게 제재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김동연 도지사는 △대성동 마을 51가구에 방음창, 방음문 설치 △건강검진차량 및 마음안심버스(트라우마 검사 및 진료용) 투입 △탄현 영어마을 내 주민쉼터 및 임시숙소 마련 등을 약속했다.
이날 간담회를 가진 주민들은 최근 남북관계 경색으로 인한 확성기 대결로 큰 고통을 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대성동 마을의 한 주민은 “9월부터 한 달 내내 확성기에서 나오는 굉음과 대남방송 때문에 트라우마가 생길 지경”이라며 “사람답게 평범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적극적인 조치를 해달라”고 호소했다. 다른 한 주민 또한 “지금같은 상황에 대북전단지를 날리게 되면 무슨 사태가 발생할지 예측하기 힘들다. 적극적인 행정조치를 통해 주민들의 안전을 보장해주시기 바란다”고 이야기했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 15일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제재하기 위해 파주시, 김포시, 연천군 3개 시군 내 11개 지역을 위험구역으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위험구역은 재난 발생이나 우려가 있는 경우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지역통제단장(경기도지사 등)이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에서는 통행 제한 등 조치를 할 수 있다. 위반 시 1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이 부과된다.
이에 따라 도는 현재 경기도특별사법경찰관 소속 수사관 50명으로 특별반을 구성, 대북전단살포가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경찰 및 각 시군 공무원 등과 공조해 24시간 현장 순찰을 진행 중이다. 기이도 경기도 특사경단장은 “대북전단 풍선이 올라갈 수 있는 예상구역 76개소를 경찰과 특사경이 주야로 순찰하고 있다”며 “주민들이 112로 추가 제보를 하면 바로 출동해 제지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는 경기도의 이같은 조치에 반발하며 대북전단 살포를 재차 진행하겠다고 밝혀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납북자가족모임은 당초 22∼23일 중 이곳에서 대북전단 살포 공개행사를 계획했지만 기상 상황과 전단 제작 지연 등을 이유로 일정을 다음 주로 잠정 미룬 상태다. 이에 경기도뿐만 아니라 파주 등 경기북부 시민사회에서도 전단 살포를 막기 위한 비상행동에 돌입하고 있다.
평화위기파주비상행동 관계자는 “작년부터 재개된 대북전단 살포를 시작으로 대남풍선, 확성기 방송을 거쳐 최근 극단적인 군사적 대치상황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또다시 대량의 대북 전단지가 살포될 경우 어떤 우발적인 피해가 발생할지 예측하기 힘들다”며 대북전단 살포 반대입장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