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연 일산사과나무치과병원장의 건강칼럼
[고양신문] 국내 치과에 임플란트가 도입된 시기는 1980~1990년대고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본격적으로 대중화됐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누적된 임플란트 식립 개수는 1000만 개가 넘는다. 우리나라 국민의 약 25%가 임플란트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임플란트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합병증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이는 임플란트 실패로도 이어지는데, 임플란트 실패는 임플란트가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거나 염증, 파절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초기 실패는 주로 수술 직후 발생하는데 잇몸뼈와 임플란트가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면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다시 식립해야 한다. 반면, 장기적인 실패는 주로 임플란트 주위염이나 파절로 인해 발생하는데 구강 위생 관리 부족이나 부적절한 습관이 주요 원인다.
임플란트 주위염은 임플란트를 둘러싼 조직에 염증이 발생하면서 잇몸뼈가 소실되는 질환이다. 주된 원인은 ‘치태’의 축적이다. 치태란 입안에 남은 음식물 찌꺼기와 구강 내 세균이 결합해 형성된 끈적한 막을 말한다. 치태가 쌓이면 염증이 심해져 결국 임플란트 제거와 재식립이 필요할 수 있다. 임플란트 주위염이 심각해지면 뼈 손실이 커져 초기 식립보다 훨씬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드는 뼈 이식과 재시술을 해야 한다.
또 다른 주요한 임플란트 실패 요인은 임플란트 또는 그 구성 요소의 파절이다. 임플란트는 대개 티타늄으로 만들어져 매우 강하지만, 장시간 씹는 힘이나 부적절한 구강 습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갈이나 이를 꽉 무는 습관으로 인해 금속 피로가 누적되면 파절될 수 있다. 임플란트가 파절되면 이를 제거하고 재식립해야만 한다.
환자들이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려면 구강 위생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임플란트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적절한 구강 습관을 교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치과의사는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매우 깊게 임플란트를 잘 심어야 한다. 또한, 칫솔질로 치태가 잘 제거될 수 있도록 보철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고 임플란트의 파절이 생기지 않도록 충분한 굵기의 임플란트를 심어야 한다.
김영연 사과나무의료재단 일산사과나무치과병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