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작은도서관 효율성 제고”
시민모임 “폐관근거 납득안돼”
“토론회 열자” 목소리 확산
사립 도서관들도 반박 성명서

공급작은도서관 폐관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시청 앞에서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공급작은도서관 폐관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시청 앞에서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고양신문] 공립작은도서관 폐관 계획에 대한 시민들의 반발이 계속되는 가운데 시가 이번 결정에 대해 작은도서관의 효율성과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하며 철회할 의사가 없음을 재차 밝혔다. 반면 공립작은도서관 폐관에 반대하는 시민들은 시 입장에 반박하며 공개적인 토론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시 도서관센터는 지난 23일 ‘고양시, 작은도서관 운영 효율성 제고… 자원 재분배’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시립도서관과의 예산 및 서비스 중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영 자원을 보다 전략적으로 분배할 계획”이라며 공립작은도서관 폐관 방침을 그대로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폐관 이유에 대해 시는 “20개의 시립도서관 및 스마트도서관, 전자책 도서관 등 새로운 인프라 확대로 인해 공립작은도서관의 역할과 예산이 중복되고 있다”며 “시립도서관과 2㎞이내에 위치한 일부 공립작은도서관을 폐관하는 대신 사립작은도서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사실상 기존 입장과 달라진 것이 없는 내용이다. 

아울러 시는 백석도서관을 전국 최대 규모의 영어도서관으로 리모델링 하는 등 시립도서관 인프라 확충을 통해 시민들에게 더 나은 독서환경과 문화적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입장이다. 공립작은도서관을 축소하는 대신 84개 사립작은도서관에 대한 강사 파견, 냉난방비 지원 등을 확대해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역할을 수행하게 할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신규 사업이나 예산 규모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같은 시의 발표에 대해 ‘고양시 공립작은도서관 폐관을 반대하는 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즉각 반박 입장을 냈다. 먼저 시가 주장하는 시립도서관과의 서비스 중복 문제에 대해 시민모임 측은 “작은도서관도 도서관법상 공공도서관으로 규정되는 만큼 서비스 방향은 같을 수밖에 없으며 고양시 조례에도 이같은 조항이 명시되어 있다”며 “서비스가 중복된다는 이유로 폐관하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반박했다. 

시립도서관과 2㎞이내 공립작은도서관 폐관 방침에 대해서도 △2024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에 따르면 시립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거리 기준이 500~750m로 규정된다는 점 △기초생활 인프라 기준 상 작은도서관은 걸어서 10~15분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있다는 점 △연구용역 결과 고양시 전체 공공도서관이 이러한 최소 기준을 충족 못하고 있다는 점 등을 들어 부당함을 주장했다.  

시민모임 관계자는 “도서관은 공공재인만큼 공립도서관도 운영하고 사립도서관도 지원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인건비 아끼겠다고 공립을 폐관하고 사립 위주로 운영하겠다는 게 제대로 된 도서관 정책이 맞는 건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도서관센터는 일방적인 보도자료만 낼 것이 아니라 정확한 근거를 가지고 시민들과 토론할 수 있는 자리를 즉각 마련해야 한다”며 토론회 개최를 요구했다. 
 
사립 작은도서관들이 소속된 고양시 작은도서관협의회 또한 지난 26일 "사립작은도서관을 공립 작은도서관을 위한 도구로 삼지 말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내며 시의 주장을 반박했다.  

고양시 작은도서관협의회는 "공립작은도서관과 사립작은도서관은 엄연히 운영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공립에 들어가는 예산 10%만 들여도 사립을 활성화 할 수 있다는 주장은 성립되지 않는 말"이라며 "고양시 논리대로라면 사립공공도서관을 활성화하는 대신 예산이 많이 드는 시립도서관을 폐관해도 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협의회는 2025년 예산으로 책정한 사립작은도서관 지원 예산의 규모와 내용을 밝힐 것 사립작은도서관 지원을 공립작은도서관 폐관의 근거로 삼지 말 것 2025년 예산이 확정되기 전에 고양시 작은도서관 발전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할 것 등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