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이 상전벽해(桑田碧海)되는 과정을 지켜봤습니다." 강촌마을 1단지 관리사무실에서 만난 1단지 입주자대표회의 이필우 회장의 말이다.강촌마을 1단지는 일산신도시 고층아파트 시범단지로 선정되어 92년 10월, 일산의 고층아파트로는 최초로 입주한 곳이다. 저층아파트로는 백석동의 백송마을이 조금 앞서 입주했다."이곳을 지나는 버스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25분을 걸어 백마기차역에서 1시간마다 있는 기차를 이용해서 출퇴근을 해야 했습니다." 지금의 마두2동은 일산 내에서 사통팔달의 교통중심지가 된 것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을 절실히 느끼게 한다. 일산의 허허벌판에 아직 도로도 제대로 없고, 상가나 슈퍼도 없어 장보기가 여간 어렵지 않았다. "저희 집에서는 남편이 출근할 때 필요한 것을 적어주어서 남편이 장을 봐왔습니다." 마두2동 통장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정애순씨의 회고다. 입주 당시 우유 하나 사려고 해도 가장 가까운 가게가 백석동 백송마을 앞 슈퍼였다고 하니, 백화점과 상가가 즐비한 지금으로는 그 불편함을 상상하기가 쉽지 않다.그러나 일산의 최초입주자로서 강촌마을 1단지 주민들의 지역사랑은 남다르다. 신도시에서 가장 오래 살았다는 자부심과 초창기에 겪은 어려움이 일산사랑을 더 북돋아주었다. 그래서 주민자치위원회나 기타 지역활동에 열심인 사람들이 가장 많은 단지이다. 또한 1단지를 거주한 유명인사도 꽤 된다. 김지하, 양희은, 고우영씨 등이 이곳에서 살았거나 지금도 살고 있다.1단지 건설과 관련하여 이곳 주민 외에는 잘 모르는 국방상의 비밀이 숨어있다. 허허벌판에 처음으로 세워지는 이곳은 휴전선에서 서울로 오는 길목으로서 적군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여러 조치가 취해졌다. 우선 아군 전차가 은신할 수 있도록 동사이 공간을 넓게 설계했고, 건물이 적의 포격에 견딜 수 있도록 건설자재를 규정대로 지키도록 국방부에서 꼼꼼히 감시했다. 그래서 이곳 아파트는 아직 조그마한 균열도 찾아볼 수 없다고 한다. 1단지에서는 아파트 관리에서도 앞서가고 있다고 자부한다. 2002년부터 아파트 관리를 업체에 위탁하지 않고 자치관리를 시작했다. 그 결과 작년 일년간 수선유지비 중 1억 7천만원을 절약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자치관리는 주민들과 주민대표자 회의 그리고 관리사무실간의 긴밀한 협조와 신뢰가 있어야 가능하다. 마두2동 8개 단지 중 5개 단지가 자치관리를 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강촌마을 주민들간의 신뢰와 협조는 남달라 보인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