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영 삼성메디컬의원 원장의 건강칼럼

[고양신문] 낮은 기온과 건조한 환경이 이어지는 겨울철엔 투석 환자의 건강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환자의 감염이나 다른 건강 문제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겨울을 보내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과 정기적인 검진이 필수 조건이다.

또한, 혈액투석에 필요한 투석 혈관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바늘을 주로 찌르는 부위에서 박동이 느껴지거나 투석 혈관 중 커진 부위가 있다면 조치가 필요하다. 팔이 붓거나 투석 후 지혈이 어려운 경우, 혈관이 막혔을 때 등에서도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

특히 면역력이 약해 쉽게 호흡기질환에 노출될 경우가 많아 적절하게 체온을 유지해야 하고 건강한 식단관리도 중요하다. 투석 환자의 식단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콩팥은 24시간 동안 기능을 하는 데 비해 혈액투석은 투석 받는 시간 동안에만 혈액 내의 노폐물이 제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균형 잡힌 영양 상태를 유지하면서 투석으로 인해 소모된 에너지 혹은 파괴된 영양을 보충해서 체중과 혈압도 조절해야 한다.

식단관리에서는 적당한 양의 단백질 섭취가 중요하므로 고기, 생선, 콩, 두부, 우유 등을 꾸준히 섭취할 필요가 있다. 단, 콩과 우유에는 인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니 섭취할 때 고 인산 혈증의 경우는 제한할 필요가 있다.

적절한 체중 조절을 위해서는 저염식 식품을 섭취해야 하며 투석 환자들은 소변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소변량에 따른 수분 섭취 조정도 필요하다. 외식하는 경우엔 외식하기 전 한두 끼부터 조심하고 제한식을 실시하되 음식은 싱거운 건더기 위주로 섭취할 필요가 있다. 햄버거, 피자 등 패스트푸드는 가능한 피하는 게 좋다.

권태영 삼성메디컬의원 원장
권태영 삼성메디컬의원 원장

신장기능이 저하된 투석 환자들은 겨울철엔 심장마비에도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추운 날 아침 새벽 운동이나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햇볕을 쬐어 비타민D를 합성하는 것은 숙면에도 도움이 되고 면역력도 높이는 좋은 방법이므로 햇볕을 맞으며 주 3회 이상 30분~1시간 정도 운동하는 것이 좋고, 여의치 않다면 실내운동을 권장한다. 

권태영 삼성메디컬의원 원장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