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 유리 ‘정시’ 불리
지난달 28일 안병영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이 발표한 ‘2008학년도 대입제도 개선안’이 고양시 교육계에 적지 않은 파장을 불러오고 있다.
현 중학교 3학년생부터 적용되는 대입제도 개선안은 수능비중을 줄이고 내신을 강화하는 한편 학생생활기록부의 상대평가지표를 다양화함으로 공교육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번 개선안에서 강조된 학생생활기록부는 내신 부풀리기를 막자는 취지에서 원점수+석차등급제의 적용으로 원점수에는 평균점수와 학생간의 실력차이를 볼 수 있는 표준편차를 도입하고 9등급으로 석차를 표시하는것이 핵심이다. 또한 학생들의 독서 및 특별활동, 봉사활동등도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바뀌었다.
수능이 등급만 제시되어 세부변별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내신과 논술·면접이 대학입학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특히 수능과 내신성적 1등급 분포도 비율이 4%로 결정되어서 최상위권 학생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되었다.
고양시 교육계도 이번에 발표된 대입제도 개선안에 대한 대책을 짜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일선 학교에서는 논술과 면접에 대비하는 수업을 준비하고 있고 학원가에서는 내신에 대비하는 종합반과 독서·논술반이 활성화 되고 있다.고양시 교육계의 한 인사는 ‘학교공부에 충실하고 올바른 생활태도를 유지하다면 수시모집에서 충분히 서울 상위권 학교와 겨워볼 만하다’며 서울과 비교해 학력이 떨어지는 고양시에는 기회라고 말했다.
하지만 많은 수의 학부모와 교육계 인사들은 대입제도 개선안이 학생들의 사교육을 더욱 부추길 우려가 있다며 ‘수능과외뿐만 아니라 내신과외, 논술과외까지 따로 받아야 할 지 모른다’며 개선안을 비난했다. 한편 고양시 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일부 대학에서 등급화된 학생들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본고사를 부활시키거나 고교등급제를 공공연히 도입시킬 수 있다며 서울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평가절하 되어 있는 고양시 고등학교 학생들이 고교등급제에 희생양이 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