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영 사과나무치과병원 과장의 건강칼럼
[고양신문] 이번 겨울엔 충치가 있는 것처럼 아주 시리고 불편하다고 호소하며 내원한 환자가 유난히 많았다. 환자들은 시리면 무조건 충치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실제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큰 충치가 없다고 하면 대부분 놀라는 눈치다.
충치로 인해 시린 경우라면 대부분 충치가 매우 크기 때문에 신경치료 가능성도 있지만, 충치가 없는데도 이가 시린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이런 시린 증상을 지각 과민증이라고 한다. 이는 외부 자극 때문에 짧고 예리한 통증을 느끼는 증상으로, 주로 치아의 상아질이 노출돼 발생하며 원인도 다양하므로 상황에 맞게 적절히 예방하고 치료해야 한다.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치주질환으로 인해 잇몸이 퇴행·위축되며 치아 뿌리가 노출돼 시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또 부적절한 칫솔질이나 과도한 교합, 부정교합, 단단한 음식 섭취 등으로 인해 치아 마모증이 생기는 때도 있다. 산성 성분인 음식이나 음료를 자주 먹어도 치아 마모증이 생길 수 있다. 이외에도 스케일링 또는 미백 시술을 받은 후 일시적으로 치아가 예민하고 시릴 수 있다.
이런 증상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일단 치주질환이나 초기 치아 마모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한 정기적 검진이 필요하다.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고 과도하게 힘을 주기보다는 힘을 적절하게 조절해 위아래를 부드럽게 닦아야 한다. 단단한 음식을 자주 먹는다던가 과도한 산성 음식과 음료의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고, 섭취 후에는 물로 입안을 꼭 헹굴 것을 권한다.
주된 치료 방법은 지각과민 처치제를 치아 표면, 즉 노출된 상아질에 도포하는 것이다. 노출된 상아세관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거나 질산칼륨 등의 성분으로 신경 민감도를 낮춰 시린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시린 이 전용 치약을 꾸준히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최근에는 생체 활성 처치제로 자연 치아 성분과 유사한 물질을 사용해 치아를 재광화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는데, 우유 추출 단백질인 CPP-ACP 성분과 불소가 치아를 보호하고 재광화를 촉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치아 마모증이 있는 치아는 레진이나 글래스아이오노머(GI) 재료로 충전해 민감도를 줄일 수 있다. GI는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니 과민성 치아가 많다면 경제적으로 고려해볼 만하다.
최근 연구에서는 불소와 바이오글라스 복합 처치제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평가되며, CPP-ACP, 레진 또는 GI를 상황에 따라 고려해서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시린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반드시 충치에 의한 것은 아니므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정확하나 진단 아래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현영 사과나무의료재단 사과나무치과병원 치과보존과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