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현장체험학습 현실과 개성방안 간담회'
[고양신문] ‘현장체험학습의 현실과 개선방안 간담회’가 지난 8일 오후 2시 경기도의회 중회의실에서 경기도교육청과 경기도의회 의원, 현장체험학습연합회, 관계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현장체험학습의 위기를 진단하고, 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이날 간담회에는 40여 명이 참여했다.
경기도 체험학습장 운영자들과 곽미숙 경기도의회 의원 등은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공유하고, 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며 실질적인 해법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사고 발생 시 반복되는 '형식적 공문'… 현장은 혼란
고양시의 대표적인 체험학습장인 ‘고양 낙농 치즈 테마 체험장’ 소재옥 대표는 “학기 초 예약했던 초등학교 단체체험이 80% 이상 취소되고 있다. 안전에 대한 책임 소재로 인해 아이들에게 교육적 효과가 큰 현장체험학습이 취소되는 것이 안타깝다”라며 “사고 발생 시 교육청이 보내는 ‘안전에 유의하고, 체험학습은 학교장의 재량으로 진행하라’는 문구가 반복되고 있다. 이런 공문이 오면 학교는 대부분 체험학습을 취소하는 상황이다”라고 지적했다.
제도개선 없이 체험교육 미래 없다
현재 각 지역 체험학습장들은 학생들의 감수성을 키우고, 새로운 방식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사고나 민원이 발생할 경우, 곧바로 예약된 체험이 취소되는 등 불합리한 구조에 묶여 있다.
뿐만아니라 학생 단체를 맞이하기 위해 시설을 정비하고, 진행 요원을 교육시키고, 사전 재료 공급 점검까지 마친 체험학습장의 타격도 큰 상황이다. 세월호 참사와 코로나19, 노란버스 등의 사태를 거쳐 최근의 상황까지 오면서 대부분의 체험학습장은 문을 닫거나 그 직전까지 내몰려 있다.
“현장 중심의 제도 개선 시급… 교육여행업계 줄취소에 속수무책”
교육여행사 체험플러스 이정희 대표는 “프로그램 기획부터 실행 계획까지 모두 세우고, 그에 맞게 강사를 준비시킨 상태에서 줄취소되는 현 상황이 당혹스럽다”며 “버스 회사, 식당, 숙박업체, 농어촌체험마을 등 연결된 곳도 한두 곳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시대 변화에 맞는 새로운 규정과 법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체험학습이 안전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청과 학교, 체험현장이 함께 만드는 ‘현장 중심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코로나19 이후 지속된 위기, “지원 절실”
두물머리생태학교 김도경 교장은 “한때 높은 만족도를 자랑하던 체험학습장이 지금은 연간 관리비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라며 “코로나19 이후 체험학습의 흐름이 꺾인 뒤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다. 학교별 체험학습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교육청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