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통증 치료의 최신 지견과 다학제적 접근 강조

[사진제공 = 대한통증학회]
[사진제공 = 대한통증학회]

[고양신문] 대한통증학회(회장 신진우)는 24일부터 25일까지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제79차 학술대회 및 연수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역 암환우와 보호자를 초청해 암성통증 시민강좌를 대한통증학회 유튜브 채널(‘안 아픈 세상 통증학회TV’)에서 라이브로 동시 진행해 큰 호응을 얻었다.

암성통증 시민강좌는 최지원 성균관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맡았으며 신진우 대한통증학회 회장과 이진한 동아일보 의학기자가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강연에는 박준모 경북대 교수가 ‘암환자 통증 코칭-암에 걸리면 왜 아픈가요?’, 김연동 전북대 교수가 ‘암성통증, 약으로 조절할 수 있을까요?’, 문지연 서울대 교수가 ‘약만으로도 부족한 암성통증,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등을 주제로 참여했다.

암성통증은 암 치료과정에서 환자를 가장 괴롭히는 증상으로, 주로 마약성 진통제를 포함한 약물과 중재적 시술로 치료하지만, 전체 암환자의 약 3분의 2는 적절한 통증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제공 = 대한통증학회]
[사진제공 = 대한통증학회]

이와 관련해 박준모 교수는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시행하는 다양한 중재적 시술이 종양내과 등 여러 진료과에 충분히 알려지지 않아 아쉽다”며 “최근에는 약물치료 반응을 기다리기보다 조기에 시술을 권고하고 있는데, 이는 치료 효과를 높이고 마약성 진통제 사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김연동 교수는 “암환자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통증을 2~3일 이상 느낀다면 통증 전문의를 찾아 상담을 받아야 한다”며 “약물 외에도 다양한 치료법이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문지연 교수는 “암환자에서 적극적인 통증치료는 면역기능을 호전시켜 삶의 질뿐 아니라 생존율까지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통증학회 신진우 회장은 “최근 암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암 생존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마약성 진통제로만 통증을 치료한 환자가 암 완치 후에도 장기간 진통제를 복용해야 하는 새로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며 “대한통증학회는 앞으로도 암성통증 등 다양한 통증 질환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과 환자 중심의 치료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