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선에서 나타난 고양시 표심 

이준석·권영국 득표율 전국평균보다 위 
반면 김문수 득표율, 전국평균 못 미쳐
표차이, 20대 5.93%p → 21대 15.58%p
등 돌린 보수 유권자들, 민심이반 뚜렷

[고양신문] 경기도지사 출신 거대 양당 후보가 맞붙은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고양시 유권자는 전국 유권자의 평균적 표심에 비해 이재명 대통령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통령은 전국 득표율에서 과반을 넘기지 못한 반면 고양시에서는 과반을 훌쩍 넘겼다.

이번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였던 이재명 대통령의 고양시 득표율은 52.98%로 나타났다. 이 대통령은 고양시 총 유효투표수 73만4008표 중 38만8876표를 획득했다. 

반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고양시에서 27만4508표를 얻어 37.40%의 득표율을 얻는 데 그쳤다. 고양시만 놓고 보면 두 후보 간 득표율 차이는 15.58%p(11만4368표)다. 이는 두 후보의 전국 득표율 차이인 8.27%p의 2배 가까운 수치다. 전국 득표율을 보면 이 대통령이 49.42%, 김 후보가 41.15%를 나타냈다. 

고양시 구별로 보면 3개 구 모두 이재명 대통령에게 절반 이상의 득표율을 안겼다. 이 중에서도 이 대통령에게 가장 많은 표를 몰아준 곳은 득표율 54.15%의 덕양구로, 김 후보(36.08%)와 19.07%p나 벌어졌다. 이번 대선에서도 덕양구가 다른 구에 비해 민주당 우세지역인 점이 입증됐다. 

이에 비해 일산동구에서는 두 후보 간 득표율 차이가 12.97%p로 3개 구 중 가장 작았다. 물론 김문수 후보의 득표율이 가장 높았던 곳 역시 38.70%를 나타낸 일산동구였다. 

지난달 20일 선거유세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고양시를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고양시민으로부터 꽃다발 선물을 전달받고 있다.
지난달 20일 선거유세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고양시를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고양시민으로부터 꽃다발 선물을 전달받고 있다.

지난 2022년 3월 치러진 제20대 대선과 비교하면, 이번 대선에서 보수 유권자의 민심이반이 뚜렷함을 알 수 있다. 20대 대선 당시 고양시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51.07%, 윤석열 전 대통령은 45.14%를 획득해 두 사람 간 득표율 차이는 5.93%p였다. 하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양당 후보의 고양시 득표율 차이가 15.58%p로 크게 벌어졌다. 그만큼 비상계엄으로 말미암은 보수정권에 대한 실망이 이번 대선에서 드러났다고 풀이할 수 있다.

보수 유권자의 민심이반은 고양시 44개동 모두 이 대통령이 김 후보에 앞섰다는 점에서도 나타난다. 2022년 대선 당시 국민의힘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고양시 10개 동에서 이재명 당시 후보에 앞선 것과 비교된다. 

한편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고양시에서 6만2090표를 확보해 8.46%의 득표율을 보였다. 이는 전국 득표율 8.34%보다 높은 수치다. 또한 고양시에서 7948표를 확보한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 역시 전국 득표율(0.98%)보다 고양시 득표율(1.08%)이 더 높았다. 

결과적으로 이번 대선에서 김문수 후보를 제외하고 이재명 대통령, 이준석 후보, 권영국 후보는 모두 전국 득표율보다 고양시 득표율이 높았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