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돌되는 경기북부특자도 추진 동력 잃어
이 대통령, 도지사 당시 균형발전위해 추진
경기관광공사·경기문화재단·평생교육진흥원
고양시 기업성장센터로 29년 하반기 이전
[고양신문]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의 고양시 이전이 동력을 되찾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고양시로 이전이 추진되는 공공기관은 현재 수원에 자리한 경기관광공사, 경기문화재단,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 3곳이다.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의 경기북부 이전은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재임 당시인 2019년부터 추진됐다. 경기도 남북부 간 균형 발전을 위해 남부에 집중된 15개 공공기관 중 13개를 단계적으로 고양, 김포, 파주, 동두천, 의정부 등 북부로 이전하기로 한 것.
후임인 김동연 도지사 역시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한다고 대외적으로 알리고 있지만, 실상은 이전 비용과 부지 마련, 직원들의 반발 등에 부딪히며 순탄치 않은 상황이다.
공공기관의 경기북부 이전은 김 도지사의 핵심공약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와 충돌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는 남부와 북부에 각각 공공기관이 있는 것을 전제하는데, 남부에 있던 공공기관이 북부로 이전을 해버리면 경기북도 설치 이후 남부에는 공공기관 공백 상황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라는 논리다.
김완규 도의원은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와 도 산하 공공기관 이전은 양립하기 어렵다. 만약 북부지역이 특별자치도 지위를 얻는다면 자체로 공공기관 설치가 가능한데 굳이 이전할 필요가 있는가”라며 “김동연 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는 많은 공을 들인 반면 공공기관 이전 노력은 그다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21대 대선을 지나면서 경기북부특별자치도는 추진 동력을 잃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대선 후보 당시 “경기 북부를 분리하면 엄청나게 규제 완화가 되는 것처럼 말하면 이건 사기다. 둘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없다”고 말하면서 경기북부특별자치도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했다. 당연히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는 이 대통령의 공약에 포함되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의 경기북부 이전에 대해서는 기대감을 가지게 됐다. 정동혁 도의원은 “이 대통령 취임 이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는 어려워진 반면 경기도 산하 3개 공공기관의 고양시 이전은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특히 다른 지자체가 공공기관 이전 부지를 놓고 갈등을 빚는데 비해 고양시의 경우 경기관광공사, 경기문화재단,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이 이전할 공간이 고양관광부지 내에 위치(장항동 1818, 1919번지)한 기업성장센터로 정해져 있다. 지하 6층~지상 40층 규모의 기업성장센터 일부 층에 2029년 하반기에 3개 공공기관 이전이 계획돼 있다.
기업성장센터 건립사업을 추진하는 경기주택공사(GH) 관계자는 “지난 3월 고양시에 건축허가 신청을 냈고, 이후 건축심의를 거쳐 오는 9~10월경 착공할 예정”이라며 “건축물 규모가 40층이다 보니 공사기간을 4년 정도로 잡고 있다. 따라서 공공기관 입주시기는 2029년 하반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직원들의 부정적 반응이다. 경기관광공사 관계자는 “직원들에게는 생활 근거지를 옮기는 문제인데다 이사비용 지원 등이 구체화되지 않아 이전을 그다지 달갑게 여기지는 않고 있다”고 전했다. 경기문화재단 관계자 역시 “직원들 대부분은 이전을 하지 않거나 이전이 최대한 늦춰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