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승모 치아살리는치과의원 원장의 건강칼럼

은승모 치아살리는치과의원 대표원장
은승모 치아살리는치과의원 대표원장

[고양신문] “임플란트했는데 잇몸이 자꾸 붓고 피가 나요. 양치할 때마다 시큰하고, 뭔가 들뜨는 느낌이에요.” 임플란트 수술을 받은 분 중에는 시간이 지나며 이런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뼈 이식도 잘 됐고 치아머리인 보철물도 문제없는데 이상하게 잇몸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라면 그 원인 중 하나는 ‘임플란트를 감싸는 연 조직’일 가능성이 크다.

임플란트는 단단한 인공치근을 턱뼈에 심는 치료다. 하지만 그 위를 감싸는 잇몸, 즉 연 조직이 건강하지 않으면 아무리 정밀하게 식립해도 문제가 생긴다. 쉽게 말해 기둥은 잘 세웠는데 그걸 감싸는 흙과 벽이 약하면 결국 무너지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다.

자연치아는 ‘치주인대’라는 조직으로 잇몸과 뼈 사이가 유연하게 연결돼 있어 외부 자극에도 일정 부분 보호가 된다. 하지만 임플란트는 그 구조가 없다. 그 대신 외부 세균이나 자극으로부터 임플란트를 지키는 마지막 방어선이 바로 연 조직이다. 이 연 조직이 부족하거나 얇고 약하면 청결 유지가 어렵고 잦은 염증과 감염, 심하면 임플란트 주위염으로까지 진행된다.

문제는 이런 문제가 수술 직후가 아니라 수년이 지나고 나타난다는 점이다. 보철물도 멀쩡하고 초반엔 잘 쓰던 임플란트가 어느 순간부터 자꾸 붓고 피가 나는 것이다. 그리고 뒤늦게 병원을 찾으면 이미 연 조직은 위축돼 있고 그 아래 뼈도 녹아 있는 경우가 많다. 환자들은 “왜 이런 문제가 생겼냐”고 묻지만, 사실 원인은 애초에 연 조직이 부족했던 것에서 시작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연 조직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장벽 역할을 한다. 세균과 음식물이 임플란트 주위로 침투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보호막이다. 

둘째, 심미적으로도 중요한 부위다. 특히 앞니처럼 보이는 부위에선 잇몸 라인이 자연치처럼 매끄럽지 않으면 티가 나고, 웃을 때 보철물이 보이거나 검은 공간(black triangle)이 생긴다.

셋째, 위생 관리의 편차가 생긴다. 연 조직이 부족하거나 부착 치은이 없으면 환자 스스로 양치 시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껴 결과적으로 위생 관리가 소홀해진다.

연 조직이 부족한 경우 임플란트 식립 전에 미리 잇몸 이식술(연 조직 이식)을 시행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미 식립이 끝난 경우라도 2차 수술 시점이나, 보철 전 단계에서 연 조직을 보강하는 방법도 있다. 최근에는 자가조직뿐만 아니라 콜라겐 매트릭스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이식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어 비교적 환자의 부담도 줄어든 편이다.

연 조직은 있으면 좋은 것이 아니라 없으면 반드시 문제가 되는 구조다. 특히 기존에 치주질환 병력이 있었던 환자, 당뇨 등 전신질환이 있는 환자, 연 조직이 얇은 체질을 가진 환자라면 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임플란트를 뼈에만 잘 심으면 된다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 이제는 뼈와 연 조직, 보철물, 환자의 위생 상태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만 진짜 성공적인 임플란트가 완성된다. 눈에 보이지 않아도 연 조직은 분명히 임플란트를 지키는 가장 중요한 기반 중 하나다.

건강한 임플란트는 건강한 잇몸 위에 세워진다. 그걸 놓치면 결국 다시 치료하고 다시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하는 일이 생긴다. 임플란트를 계획하고 있다면 잇몸 상태부터 점검해보는 것이 현명한 첫걸음이다.

은승모 치아살리는치과의원 대표원장(치주과 전문의)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