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행정사무조사서 전문성 부족
말 바꾸기, 자료 제출 거부 드러나
고양시 몫 심사위원, 특정 후보에 
99점 몰아주기 등 공정성 논란

지난 12일 킨텍스 감사 행정사무조사 특위에서 송규근 시의원이 킨텍스와 고양시 관계자들을 상대로 질의를 하고 있다. 
지난 12일 킨텍스 감사 행정사무조사 특위에서 송규근 시의원이 킨텍스와 고양시 관계자들을 상대로 질의를 하고 있다. 

[고양신문] 지난 12일 열린 고양시의회 '킨텍스 인사(감사) 추천 공정성 강화를 위한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이하 특위)에서 엄덕은 킨텍스 감사의 전문성 부족과 불투명한 선임 과정에 대한 문제점이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특위 위원들은 엄 감사의 업무 이해도 부족과 말 바꾸기 정황, 핵심 자료 제출 거부 행태를 강하게 질타하며 '보은 인사', '깜깜이 심사' 의혹을 파고들었다.

‘개인정보 보호’ 이유로 경력자료 미제출
이날 특위에서 엄 감사는 킨텍스 감사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여실히 드러냈다. 이날 조사에서 김학영 의원이 "킨텍스는 상장회사인가, 비상장회사인가"라고 묻자 엄 감사는 “상장사입니다”라고 답했다.

킨텍스는 고양시와 경기도,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출자한 공기업 성격의 '비상장회사'이지만, 이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이다. 1조 원이 넘는 자산을 운용하는 거대 기관의 감사가 회사의 기본적인 법인 형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엄 감사는 자신의 경력과 자격을 증명할 자료를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제출 거부하며 논란을 키웠다. 김미수 의원은 "떳떳하다면 왜 경력을 내놓지 못하느냐"며 "역대 감사들은 모두 경력을 공개했다. 배우러 오는 자리가 아니다"라고 질타했다. 실제 엄 감사가 제출한 이력에는 '파주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팀원' 경력만 기재돼 있어, 대규모 전시 컨벤션 기관의 감사를 맡기에는 전문성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친언니가 대표인 줄 몰랐다"…석연찮은 해명과 말 바꾸기
엄덕은 감사의 친언니(엄성은 시의원)가 대표로 있는 '사람의 도시 연구소'에서의 활동에 대한 해명도 논란이 됐다. 이날 조사에서 최성원 의원이 연구소 대표를 맡고 있는 엄 의원과 엄덕은 감사가 함께 나온 사진을 제시하며 활동 경위를 묻자, 엄 감사는 처음에는 '자원봉사'라고 답했다가 이후 '친언니 부탁으로 개인적으로 도와준 것'이라고 말을 바꿨다.

특히 "활동 당시 친언니가 연구소 대표인 줄 몰랐다"는 답변은 위원들의 강한 불신을 샀다. 최 의원은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지만, 엄 감사는 "당시 사는 곳이 달랐고 잠깐 도와주러 간 것이어서 크게 관심이 없었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깜깜이' 임원추천위, 특정인 내정 위한 '99점' 의혹
감사 선임 과정의 공정성 문제는 심사 점수에서 크게 드러났다. 송규근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고양시 몫으로 추천된 심사위원 1명은 타 후보에 비해 경력이 부족한 엄덕은 감사에게 서류 평가에서 99점이라는 최고점을 부여했다. 반면 다른 유력 후보에게는 75점을 줬다. 코트라가 추천한 다른 심사위원이 동일한 유력 후보에게 95점을 준 것과 비교하면 점수 차이가 매우 크다.

특히, 엄 감사에게 이처럼 과도한 점수를 준 이는 외부 전문가가 아닌, 고양시 고위 공무원(국장)이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객관성이 담보돼야 할 심사에 내부 공무원이 참여해 특정 후보에게 점수를 몰아준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는 사실상 특정인을 감사로 내정해놓고 심사를 형식적으로 진행한 '보은 인사'라는 비판에 힘을 싣고 있다. 송 의원은 "어떻게 동일한 서류를 보고 점수가 이렇게 다를 수 있느냐"며 "감추는 자가 범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양상윤 당시 담당부서 과장(현 동장)은 '개인정보'를 이유로 끝내 답변을 거부했다. 이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해 특정인을 감사로 내정하고 심사는 형식적으로 진행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불을 지폈다.

한편 특위는 자료 제출 거부와 위증에 대해 강력한 법적 조치를 예고하며 올해 말까지 활동 기한을 연장한 상태다. 최규진 위원장은 “현재 킨텍스 감사선임 관련 자료 비공개 문제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법 적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국무총리실 산하 기관에 의뢰한 상태”라며 “관련 의혹이 해소될 때까지 조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