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회원 124% 증가, 누적 회원 144만
여성청소년 위생용품 등 외연 확장
[고양신문]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공공배달 플랫폼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경기도주식회사(대표이사 이재준)는 11일, 배달특급이 올해 10월 말 기준으로 약 850억원의 거래액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거래액 556억원과 비교해 53%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신규 회원 확보 성과도 두드러졌다. 올해 10월까지 약 20만7032명의 신규 회원을 확보해, 지난해 같은 기간 9만2545명 대비 124%의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이로써 2020년 12월 서비스를 시작한 배달특급은 총 누적 거래액 약 4850억원, 누적 회원수 144만 명을 기록하며 경기도민의 일상에 안착했다는 평가다.
배달특급은 과도한 민간배달앱 수수료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소비자의 상생을 목표로 출범했다. 현재 도내 31개 시군에서 서비스 중이며, 경기지역화폐와 연동돼 지역 상권 활성화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정부의 '공공배달앱 활성화 소비 쿠폰' 사업과 연계해 경기도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추진한 '2025년 상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에서 배달특급의 활약이 돋보였다. 배달특급은 경기지역화폐가 연동되는 3개 공공배달앱(배달특급, 땡겨요, 먹깨비) 가운데 가장 먼저 할인 쿠폰을 소진시켰으며, 가장 많은 30억원의 거래액을 기록하며 소비자와 소상공인의 상생을 이끌었다.
단순 배달 중개 기능을 넘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연계 사업을 통한 외연 확장에도 힘썼다. 2023년부터 결식아동을 위한 경기도 아동급식카드 온라인 결제 기능을 제공한 데 이어, 다회용기 제공 서비스를 통해 친환경 정책에도 동참하고 있다.
올해 5월부터는 '여성청소년 위생용품 온라인 판매 서비스'를 개시했다. 지역화폐로 지급되는 위생용품 상품권을 배달특급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동한 것이다. 해당 쇼핑몰에서는 지난 5월부터 10월까지 약 35억원의 거래액이 발생하며 높은 호응을 얻었다.
이 밖에도 올해 하반기부터는 온누리상품권 결제 기능을 도입해 소비자 편의성을 높였으며, 개발사 페이코와의 정례 개발 회의를 통해 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꾸준히 기능을 개선 중이다.
이재준 경기도주식회사 대표이사는 "배달특급의 꾸준한 성장과 실적 개선이 골목상권과 지역경제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며 "2026년에도 배달특급은 경기도 대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소상공인에게는 든든한 파트너로, 소비자들에게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