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고양시 행정감사_도서관센터·청소년재단
박현우 의원(화정1·2동, 국민의힘)
“청소년수련관장직 개방직 전환, 전문성 강화” 제안
[고양신문] 고양시 공공도서관의 장기 미반납 기준이 대출 기한 대비 과도하게 느슨하고, 회수 방식에서도 행정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고양시의회 박현우 의원(화정1·2동, 국민의힘)은 19일 행정사무감사에서 도서관센터와 고양시청소년재단에 대한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박 의원은 “현재 고양시 공공도서관은 대출기한이 기본 14일임에도, 장기 미반납 기준을 6개월로 두고 있다”며 “이는 대다수 성실한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지나치게 유연한 기준”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도서관이 장기 미반납자에게 전화로 반납을 독려하고 이후에도 반납이 없을 경우 직접 자택을 방문해 책을 회수하는 절차에 대해 “행정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이어 “장기 미반납 기준을 1개월 수준으로 단축하고, ‘고양시 시립도서관 설치 및 운영 조례’ 제23조에 따라 금전적 변상 의무를 명확히 부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당 조례에는 도서를 잃어버리거나 훼손한 경우 동일 자료로 변상하거나, 연체가 계속될 경우에도 변상 책임이 있다는 규정이 포함돼 있다.
이어 진행된 고양시청소년재단에 대한 감사에서는 청소년수련관장직 인사 구조를 문제 삼았다. 박 의원은 “현재 3개 청소년수련관 관장이 모두 3급 정규직으로 채용돼 있다”며, “이는 운영 안정성에는 기여하겠지만, 조직의 유연성과 외부 자원의 유입에는 제약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수련관장직 중 최소한 한 자리 이상은 ‘개방형 임기제’로 전환해 외부 전문 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개편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최회재 고양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는 “의견에 공감하며, 현실적으로 시 집행부와 협의를 거쳐야 하겠지만, 제안처럼 제 임기 중에 3개의 수련관장직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은 개방형 임기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