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고양시 행정사무감사_일자리정책국
손동숙 의원(마두1·2·장항1·2, 국민의힘)

고양시의회 환경경제위 손동숙 의원(마두1·2·장항1·2, 국민의힘)
고양시의회 환경경제위 손동숙 의원(마두1·2·장항1·2, 국민의힘)

인건·운영비 외 활용예산 5천만원뿐
현 예산·인력 구조로는 제기능 못해
이동노동자 쉼터, 공간부족 심각 지적 

[고양신문]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해 2020년 설치된 ‘고양시 노동권익센터’가 시의 지원체계 미비로 열악한 환경에 처했다는 지적이다. 고양시 노동권익센터(이하 센터)가 노동자의 권익 증진, 노동 상담, 교육, 권리구제, 각종 지원사업 등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예산과 인력 구조가 턱없이 부족해 실질적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고양시의회 환경경제위 손동숙 의원(마두1·2·장항1·2, 국민의힘)은 지난 17일 일자리재정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센터는 2025년 기준 총예산 3억6000만원이 편성됐으나, 이 중 인건비와 운영비를 제외하면 실제 사업 추진에 활용할 수 있는 예산은 고작 5000만원 수준에 그쳐 사실상 각종 공모사업에 의존해 센터를 유지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특히 손 의원은 센터장을 포함해 5명의 직원을 두고 있는 센터의 상담·권리구제 기능 과부하를 문제 삼았다. 센터는 노무사 1명을 두고 있는데, 2025년 1월부터 9월까지 노무사 1명이 상담한 노동자는 222명이고, 상담 건수만 371건에 달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손 의원은 “이게 과연 제대로 된 상담과 권리구제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겠느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대해 김경한 일자리정책과장은 “인력 충원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대답했다. 

이어 경기도 내 지자체 가운데 노동권익센터를 직접 운영하는 곳은 고양시를 포함해 9곳이며, 이 중 수원·안양·안산·파주 등 일부 지자체는 센터 직원들에게 업무용 차량을 지원해, 대면 상담과 현장 점검, 권리구제 활동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반면 고양시는 센터 전담 인력도 부족한데다 업무용 차량조차 확보하지 못해, 노동자의 현장 애로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대응하는 데 구조적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손 의원은 이동노동자 쉼터의 과밀 문제도 지적했다. 현재 쉼터는 최대 20명 수용 규모지만, 실제 하루 이용하는 대리기사 등 이동노동자는 약 180명에 달해 공간 부족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손 의원은 “이동노동자는 도시의 밤을 지탱하는 필수 노동자인데, 이분들을 위한 최소한의 휴식 공간도 턱없이 부족하다”며 추가 설치와 확충을 강력히 요구했다.

손 의원은 “노동권익센터를 설치한 취지는 명확하다. 노동자가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보호하고, 현장의 문제를 제때 해결하는 공적 안전망 역할을 하라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노무사 인력 증원, 업무용 차량 지원, 예산 구조 정상화 등 실질적인 개선책을 시가 즉시 검토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경한 일자리정책과장은 “노동권익센터를 살펴보고 어려운 점이 있는지 파악해서 개선점을 찾도록 하고, 이동노동자 쉼터 역시 개선점을 강구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