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개발연구원 공청회 통해 지원방안 모색

지난 16일 경기개발연구원이 주관하고 경기도가 후원하는‘접경지역 발전을 위한 경기도 접경지역계획수립 공청회’가 파주 시민회관에서 열렸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접경지역의 남북교류협력공간을 개발하고 지역주민생활개선을 추진하며 환경친화적 개발 및 보전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과 사업계획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임창열 경기도지사는 축사를 통해 “수도권정비계획법령이 개정되지 않는 한 접경지역계획이 수립되어도 지역숙원사업인 4년제 대학 설립, 국가산업단지 조성, 대기업 공장유치, 대규모 관광단지 조성 등이 불가능한 실정”이라며 접경지역을 수도권 규제권역에서 제외해 줄 것을 중앙정부에 요구했다.

현재 경기도의 접경지역 대상지역은 7개 시군에 46개 읍·면·동이 있으며 이중 고양시는 송산동과 고봉동, 송포동이 접경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그러나 고양시에서 접경지역으로 지정된 3개동의 행정구역 면적은 51㎢으로 7개 시군 중 가장 작은 규모.

주제발표에 나선 이상대 박사(경기개발연구원 연구책임자)는 접경지역의 구체적인 발전전략으로 ▶지역개발(남북교류협력공간 조성, 지역주민 생활환경개선) ▶토지이용과 보전(보전지역 구분, 토지의 체계적 관리) ▶인프라(단절된 교통망 복구, 생활도로 확충, 임진강 수자원 개발) ▶산업 및 관광개발(산업단지 조성과 지역 연계, 문화·역사·생태관광개발) ▶환경(생태보전지역 지정 및 관리, 임진강의 수질 개선) ▶사회개발(인적자원 개발, 의료·복지 개선, 문화재 보존과 복원)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지역기초사업에 고양시는 핵심지원사업과 투자지원에 해당하는 지역이 없어 아쉬웠다. 인근 김포시의 경우 경기개발연구원은 하성 생태공원 조성, 재활용센터 건립사업, 덕포진 관광지조성사업 등에 총 813억 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