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고양시 기후위기 대응 대도시 포럼
기후위기 극복의지 대외표명
“10년 내 온실가스 33% 감축”
[고양신문] 2023년 예정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이하 COP28)의 대한민국 개최가 유력한 상황에서 각 지자체가 유치전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고양시가 유치 의지를 대외에 널리 알리는 행사를 개최했다. 21일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지역의 국회의원, 시도의원, 전문가, 시민 등이 모여 ‘제1회 고양시 기후위기 대응 대도시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본행사 전에 각계 시민단체가 저탄소 생활실천과 확산을 위해 모인 ‘고양시 탄소중립 시민 실천연대’가 발족식을 하며 기후위기 극복의지를 표명하고 극복을 위한 실천을 함께할 것을 표명했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기조연설에서 “고양시는 2030년까지 에너지의 20%를 소규모 분산형 재생에너지와 청정에너지로 전환하고자 한다. 고양시 로드맵에 따르면 10년 안에 온실가스 33%가 감축된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고양시는 2년간 104억 원을 투입해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23개 에너지 자립마을을 조성하고, 민간협동조합을 주축으로 시민햇빛발전소 7개소를 건립했다. 또 공공시설, 유휴지를 활용해 소규모 태양광 발전의 거점을 만든 결과 지난 2년간 신재생에너지 설치량이 약 7배 확대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가장 선도적이고 과감한 생태혁명 도시가 될 고양시에서 COP28이 개최돼 가장 빠른 논의와 실천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3개의 세션으로 나눠, 연세대학교 정태용 교수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고양시 역할’을 주제로 발표하고, 이어 고양시정연구원 임지열 부연구위원이 ‘고양시 탄소 저감 정책 및 추진방향’에 대해, 마지막세션으로 지속가능도시연구센터 박용남 소장이 ‘교통 부문 탄소저감 정책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정태용 연세대 교수는 “저마다 그린뉴딜 프로그램을 만드는 각 지자체들이 경쟁하는 상황에서 고양시가 지역여건에 얼마나 부합하는 맞춤형 그린뉴딜 프로그램을 만들어내느냐가 관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앙정부 예산에만 의존하려고 하지 말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려는 해외 투자자들이 고양시에 눈을 돌릴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고양시정연구원 이재은 원장이 좌장이 되어 종합토론을 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특히, 교통분야 전문가들과 함께해 대도시에서의 교통부문 탄소저감 정책방향을 논의하고 이를 통해 탄소 배출량이 많은 대도시에서의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고양시만의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시는 이번 제1회 기후위기 대응 대도시 포럼에 이어 내년 포럼을 통해 탄소중립도시 구축에 대한 논의를 이어감으로써, 기후위기 문제를 공론화하고 도시에서의 탄소저감 방안을 강구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까지 COP28 유치에 나선 지자체는 고양시 외에도 인천시, 여수시, 제주도 등이다. COP28은 세계 최대 환경 회의로 전세계 198개 회원국 환경 분야 행정 수반은 물론 기후 전문가와 관광객이 2만명 이상 참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