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가와지볍씨 발굴 30주년 이융조 명예관장 기념특강 

1991년 발굴 당시 어려움 회고
일본 마이니치신문에 보도 감격
청주 소로리볍씨 발굴로 이어져 

[고양신문] ‘벼, 타임캡슐을 열다’ 특별전이 열린 24일에는 고양가와지볍씨 발굴 30주년을 기념하는 특강도 진행됐다. 이날 이융조 고양가와지볍씨박물관 명예관장은 ‘고양가와지볍씨 연구 성과에 대한 회고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다. 

이 명예관장은 이날 특강에서 고양가와지볍씨가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재배볍씨로 대외적으로 알리기까지 그 이면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많았다고 전했다. 1991년 발굴 당시의 상황을 회고하며 “당시 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 학생들이 참여했는데, 발굴 예산으로는 학생들에게 밀짚모자와 장갑만 지급했고, 식사도 시장에서 직접 구입해 조달한 재료로 하루 세 끼와 간식을 해결했다. 또한 잠자리는 김수원 선생의 배려로 대화리 전체에서 오직 한 채 남아 있는 집의 방 2개를 빌려 여학생들이 사용했다. 남학생들은 헛간과 발굴용 천막에서 더운 여름 102일간을 견뎌내야만 했다”고 회고했다. 

1991년 당시 발굴에 참여한 당시 충북대 학생들의 모습
1991년 당시 발굴에 참여한 당시 충북대 학생들의 모습

일본 마이니치 신문에 보도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설명도 했다. 이 명예관장은 “1994년 7월, 일본 마이니찌 신문이 ‘가와지볍씨를 취재하고 싶다’는 연락이 왔다. 단순히 전화 인터뷰를 한 것이 아니라 마이니찌 신문 나라 지국장이 직접 국내로 날아와서 이틀 동안 집중적으로 나와 박태식 박사, 허문회 교수 등을 인터뷰 했다”며 당시의 감격을 전했다. 이어 “일본 나라국립문화재연구소 아수카자료관 구가쿠(工樂) 학예실장은 ‘한반도에서 벼농사가 약 5천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은 지금까지의 상식을 뒤집은 발견이다. 앞으로 일본 연구자도 참여하여 공동연구를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전했다”고 말했다. 

94년 9월 일본 마이니치 신문에 보도된 고양가와지볍씨 기사
94년 9월 일본 마이니치 신문에 보도된 고양가와지볍씨 기사

이날 이융조 명예관장은 고양가와지볍씨 의미와 박물관의 역할에 대하서도 설명했다. 이 명예관장은 “고양가와지볍씨가 미국 베타연구소의 측정으로 5020년 전인 신석기 시대의 것으로 밝혀졌다. 박태식 박사는 소지경 절단면을 전자주사현미경으로 확인해서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재배벼임을 실증하는 데 기여했다”고 말했다. 

이융조 고양가와지볍씨박물관 명예관장은 24일‘고양가와지볍씨 연구 성과에 대한 회고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이융조 고양가와지볍씨박물관 명예관장은 24일‘고양가와지볍씨 연구 성과에 대한 회고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고양가와지볍씨 의미에 대해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아시아와 세계벼의 진화·발전 연구에 획기적인 성과를 얻게 하는 시발점과 기본축이 됐다”면서 “고양가와지볍씨 발굴은 이어 8000년 전의 볍씨인 충주 조동리볍씨와 약 1만7000년 전에서 1만5000년 전 사이의 볍씨로 보이는 청주 소로리볍씨 발굴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2014년 개관한 고양가와지볍씨 박물관에 대한 긍지도 밝혔다. 이 명예관장은 “고양가와지볍씨 박물관은 각기 2차례의 국제회의를 개최하면서 농경과 관련된 자문을 얻고자 8개 국가에서 19명의 ‘해외 석학 학술자문위원’을 위촉했다. 이렇게 다수의 해외석학 학술자문위원을 확보하였다는 사실은 박물관의 큰 자랑이라고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