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특별자치도 당위성을 알리고 공감대 확산 

[고양신문] 경기도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출범 시점을 오는 2026년 7월 1일로 정했다. 이를 위해 도는 내년 5월 29일 이전, 다시 말해 21대 국회 임기가 끝나기 전에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는 이 두 가지 목표를 이루기 위해 현재 가장 공들이는 것이 경기북부특별자치도의 당위성을 알리고 공감대 확산을 위한 ‘공론화’다. 이 공론화 작업은 크게 △경기북부 10개 시·군별 토론회 △경기도 31개 시·군 전체에 걸친 6개 권역별 숙의 토론회라는 ‘투트랙’으로 추진된다.  우선 도는 경기북부 10개 시·군별 토론회를 다음달 27일까지 이어갈 예정이다. 이달 21일 포천시를 시작으로 가평(22일), 남양주(23일), 구리(29일), 그리고 7월에는 양주(4일), 파주(5일), 동두천(20일), 의정부(21일), 연천(26일)에서 토론회를 열게 된다. 하지만 고양시에서의 토론회 일정은 아직 잡히지 않았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추진단은 “일정을 조율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와 별개로 경기도 전체를 6개(경의권·경춘권·경부권·동부권·서해안권·경원권)로 나눠 권역별 토론회도 병행하고 있다. 6개 권역별 숙의 토론회는 지난 17일부터 다음달 22일까지 열린다. 고양시는 김포·파주와 함께 경의권에 속하는데, 경의권 토론회가 지난 17일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렸다. 권역별 토론회는 선정된 도민들이 참여하는 토론회란 점에서 누구나 참여가 가능한 경기북부 10개 시·군별 토론회와 차이가 있다. 17일 열린 경의권 토론회에서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추진 계획과 과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따른 경기북부 비전과 경기남부 영향 등 2개 세션으로 이뤄졌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공론화지원팀은 사전에 권역별 토론회에 참석하는 도민들을 선정하기 위해 지난 4월 30일부터 5월 21일까지 경기도민 1만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이 여론조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에 대한 인지도, 필요성을 느끼는 정도, 찬반 의견, 그리고 찬반의 각 이유 등을 묻는 문항으로 이뤄졌다. 공론화지원팀은 “단순히 여론조사 자체의 의미보다 공론화를 위한 기틀을 다진다는 의미가 강하다. 여론조사에 응답한 이들을 대상으로 6개 권역별 숙의 토론회에 참여할 분들 1200명을 최종 선정했다. 그리고 이 분들을 숙의토론에 참여시켜 토론회 전후에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을 바라보는 태도에서 변화가 있는지를 측정한다”고 말했다. 

도는 이처럼 관 주도의 일방적 추진보다 특별자치도의 당위성에 대한 논리를 도민들 스스로 개발하고 이를 공유하는 형태로 공론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도는 이번 권역별 숙의 토론회에서 도출된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보다 심화된 의제를 다루는 종합토론회를 8월 중 개최할 계획이다.

경기북부 10개 시군 중 고양시 토론회는 아직 일정이 잡히지 않았다. 자료 = 경기도 제공.
경기북부 10개 시군 중 고양시 토론회는 아직 일정이 잡히지 않았다. 자료 = 경기도 제공.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