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차, 10월 2차 추경 이어 
내년 본예산에도 편성됐지만   
번번이 시의회 문턱 못 넘어     

원당재창조 프로젝트 위치도.
원당재창조 프로젝트 위치도.

[고양신문] 원당재창조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용역 예산이 올해 3월 1차 추경, 10월 2차 추경에 이어 내년 본예산 심사에서도 전액 삭감됐다. 이로써 원당재창조 프로젝트는 기약할 수 없는 민선8기 고양시의 대표적 사업이 되어 가고 있다. 

고양시의회 예결위(위원장 김운남)는 11일 ‘원당역세권 일원 종합발전계획 수립 용역’ 3억원, ‘원당지하차도 상부 도시관리계획 변경 등 추진 용역’ 2억원을 전액 삭감했다. 
 
‘원당역세권 일원 종합발전계획 수립 용역’은 원당지역 구도심 일대의 도시공간을 재구조화한다는 원당재창조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기본계획안을 마련하는 용역이다. ‘원당지하차도 상부 도시관리계획 변경 등 추진 용역’ 역시 원당재창조 프로젝트에 근거해 원당역~주교사거리의 약 1㎞의 거리를 활성화하고, 원당지하차도 상부(성사 제3공영주차장) 부지에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마련하는 용역이다.  

원당재창조 프로젝트는 이동환 시장이 시청사를 백석으로 이전하는 대신 그 대안으로 내세우는 계획이다. 현 청사를 중심으로 한 원당지역 활성화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민선8기 들어 갑작스레 추진하던 사업이지만 애초 실현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시는 현 청사를 제2청사로 활용하고 원당재창조 프로젝트를 추진해 원당지역을 발전시키겠다는 입장이지만 시의회와 덕양구 주민들은 소통과 협의, 동의 없는 일방행정이라며 강하게 비난해 왔다. 정부나 경기도의 협의나 재정지원도 없이 ‘계획’만으로 시민들에게 홍보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경기도가 지난달 시청사 백석 이전사업에 대한 경기도의 투자심사 재검토 발표가 있었음에도 이동환 시장·이정형 고양시 제2부시장은 반발하며 시청사 이전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임홍열 시의원은 “시장이 결정했으니 따라오라는 식의 행정은 지방자치가 아니다. 동전의 양면과 같이 백석 신청사 이전과 원당재창조 프로젝트는 맞물려 있는데 이는 민선 8기 독단 행정의 대표적인 사례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