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무산 위기 우려됐지만 설계변경&공사비 축소로 합의
[고양신문] 2년 넘는 공사중단 사태로 취소 위기까지 직면했던 일산역 앞 복합커뮤니티센터 사업이 재추진될 전망이다. LH와 고양시가 공사비용 절감을 위해 지하층수를 줄이고 일부 시설을 제외하는 등 사업계획을 변경하기로 합의한 것. 다만 사업 핵심 중 하나인 일산서구보건소 이전계획이 무산되면서 ‘반쪽짜리 사업’으로 전락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0일 김해련 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위원장(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고양시와 LH는 지난달 말 일산역 복합커뮤니티센터 공사재개를 위한 사업계획 변경안에 합의했으며 19일 이동환 시장의 승인까지 얻은 것으로 확인됐다. 변경된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당초 지하 3층으로 계획됐던 주차장을 지하 2층까지만 조성하는 대신, 당초 일산서구보건소가 이전하기로 했던 곳에 주차장 면적을 대체하는 것이 주 골자였다. 다만 이 시장이 지속적으로 문제 삼았던 공공임대주택(청년주택)은 기존대로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문제가 된 일산역 복합커뮤니티센터 사업은 일산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핵심 콘텐츠 중 하나로 당초 일산동 655-21번지 일원 연면적 약 2만㎡에 9~15층 높이 건물 3개 동을 건립할 계획이었다. 이곳에는 신혼부부와 청년들을 위한 행복주택 132세대와 공공어린이집, 청년창업공간, 그리고 일산서구보건소 건물이 확장 이전하기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민선8기 이후 이 복합커뮤니티센터는 공공임대주택을 업무시설로 변경하라는 이동환 시장의 지시로 인해 여태껏 터파기 공사조차 진행하지 못한 상태다. 이에 지역구 의원인 김해련 위원장은 작년 11월 시정질의를 통해 최대 200억원의 매몰비용 우려 등을 제기하며 사업재개를 촉구했지만 이동환 시장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해왔다<관련기사:2년째 공사중단에 지친 LH, "공사계약 해지" 통보 참고>. 급기야 작년 11월 LH가 매몰비용 부담으로 공사업체와 계약을 해지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김해련 위원장은 “올해 초까지만 해도 LH는 급격한 공사비 상승 부담과 고양시의 귀책 사유 등을 이유로 사업취소를 이야기해왔다”며 “하지만 이대로 사업이 취소되면 일산도시재생사업은 아무 성과도 없이 국비를 반납하고, 심지어 매몰비용까지 감당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LH와 고양시를 설득해 겨우 합의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당초 시행사인 LH가 사업비 180억원(국도비 포함)으로 추진해야 하는 사업이었지만, 이동환 시장 취임 후 지하 옹벽 문제와 시의 공공임대 제외 요구 등 각종 분쟁으로 2년 가까이 공사가 중단되는 사이 공사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한 것. 때문에 사업재개를 위해 불가피하게 설계변경이 필요했고 그 결과 당초 이곳에 옮겨오기로 했던 일산서구보건소를 제외하기로 합의했다는 게 김 위원장의 설명이다.
김해련 위원장은 “아직 국토교통부의 활성화계획 변경과 시의회 동의절차가 남아있긴 하지만 가장 걸림돌이었던 이동환 시장의 동의를 얻어냈기 때문에 큰 고비는 넘었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당초 계획에 포함됐던 일산서구보건소 확장이전 사업이 무산된 것은 안타깝다”라고 말했다.
한 지역주민 또한 “국비 사업을 통해 불편했던 일산서구보건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는데 시장의 고집 때문에 결국 무산된 것 아니냐”며 “주민 입장에선 결과적으로 공사 기간만 늦춰지고 손해만 보게 된 꼴”이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