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곳곳 ‘개통 반대’ 현수막 내걸려
속내는 ‘패싱 대정역' 부활 요구
고양시 “추후 전철화 때 반영 가능”
[고양신문] 20년 만에 재개통하는 교외선(능곡역~의정부역)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재개통을 반대하는 주민들의 목소리도 들려온다. 고양시 덕양구 능곡동(행정동) 15통(통장 김시원) 주민들로, 이들은 대장동(법정동) 마을 곳곳에 ‘누구를 위한 교외선 개통이냐?’ ‘주민편의 무시하는 교외선 개통 결사반대’라는 현수막을 마을주민 이름으로 내걸었다.
현수막만 읽어보면 교외선 개통을 전면 반대하는 것으로 읽히지만, 사실 주민들의 진짜 요구는 정차역으로 지정되지 못한 ‘대정역’의 부활이다. 과거 정차역이었던 대정역 패싱에 대한 실망감을 ‘교외선 재개통 반대’라는 강경한 구호에 담아낸 것. 실제로 교외선 재개통 반대 현수막 옆에는 ‘교외선 대정역을 즉시 설치하라’고 적힌 현수막이 ‘대정역설치추진위원회’ 이름으로 나란히 내걸려 있다.
13일 구 대정역 역사에서 만난 마을 주민들은 대정역 부활을 한목소리로 요구했다. 김시원 통장은 “교외선이 재개통한다고 해서 마을 주민들이 다들 기뻐했는데, 당연히 설치될 줄 알았던 대정역이 폐쇄된다는 청천벽력같은 소식을 받아들었다”며 “주민들과 한마디 소통도 없이 일방적 폐쇄를 결정한 조치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6월에 ‘대정역 설치 요구’ 민원을 고양시에 제출하기도 했던 마을주민 방용진씨는 “교외선이 운행되던 시절 15통 주민이 70세대에 불과했는데도 대정역에 기차가 정차해서 인근 마을 주민들이 이용하곤 했다. 현재는 15통 380세대, 16통과 17통을 합치면 무려 1100세대에 이를 정도로 인구가 증가했는데도 역을 없앤다는 건 말이 안된다”고 항변했다.
‘교외선 개통 반대’ 현수막을 붙인 데 대해 김의향 부녀회장은 “만일 대정역을 없앤다면, 대장동 주민들에게 교외선 재개통은 불편한 점만 잔뜩 안겨주는 반갑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이연숙 노인회장은 “없는 역도 만드는데, 있는 역을 왜 없애냐?”면서 불만을 표했다.
주민들이 말하는 가장 큰 불이익은 펜스 설치로 인한 마을 단절이다. 한 주민은 “철길을 따라 철제 펜스가 둘러지면 학교 가는 학생들도, 농사지으러 나가는 주민들도 건널목과 건널목 사이 1㎞ 거리를 빙 돌아가야 한다, 소음과 안전문제 역시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를 반영하듯 구 대정역 인근 건널목 펜스에는 대장동 학부모회 이름으로 ‘안전하고 편리한 건널목을 확보해주세요’라는 현수막이 내걸리기도 했다.
하지만 대정역 부활이라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당장 반영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고양시 교통정책과는 주민민원에 대해 ‘교외선 운행 재개는 정부 주관 사업’이라고 전제한 뒤 ‘시는 관계기관 협의 시 추가 정차역을 요구하였으나 사업성 부족 등을 이유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답변을 보냈다. 실제로 고양시 관내 구 교외선 정차역 중 대정역 외에도 삼릉역, 벽제역 등이 같은 이유로 정차역에서 제외된 상태다.
그러나 고양시는 ‘향후 이용 수요를 바탕으로 추가 정차역 검토가 가능함에 따라, 시에서는 대정역 정차를 포함한 교외선 전철화 사업을 건의했다’는 설명을 민원답변서에 덧붙여 일말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주민들 역시 “향후 전철화 사업 과정에서 대정역이 꼭 반영되기 위해서라도 주민들의 일치된 요구를 행정당국과 정치권에 지속적으로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