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의회 시정질문- 김해련 의원]
15일간 일본·브라질·미국 방문
“해외가 계약해제보다 중했나?”
K-컬처밸리에 무관심·무노력
이 시장 “국내와 국제정책 조화”
[고양신문] K-컬처밸리 계약 해제까지 급박한 상황이 전개되던 지난 6월 한 달간, 이동환 고양시장이 대부분의 일정을 해외 체류에 쏟은 사실이 도마 위에 올랐다. 6월 30일 경기도와 CJ라이브시티 간 맺은 사업협약의 종료를 앞두고 사업기간을 4년 더 연장하느냐와 지체상금 문제를 놓고 양자 간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고양시장은 적극적인 중재를 하기보다 해외에 머물렀다는 사실에 비판이 가해졌다.
김해련(정발산·중산1·중산2·일산2) 시의원은 3일 고양시의회 임시회에서 ‘K-컬처밸리 운명의 6월, 고양시장은 어디에 있었습니까’라는 제목으로 시정질문을 했다. 김 의원은 “국외출장을 제외하고 고양시장이 6월 한 달 정상 출근한 날이 일주일에 불과하다. CJ라이브시티 사업의 계약 해제를 상쇄할 만한 더 긴급하고 중요한 일정이 해외에 있었느냐”며 이동환 시장을 겨냥했다.
이동환 시장은 지난 6월 9~12일은 도시재생 벤치마킹을 위해 일본에, 6월 18~22일은 이클레이 세계총회 참석을 위해 브라질에, 23~28일은 실리콘밸리 빅테크 기업을 방문해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미국에 머물렀다. 하지만 미국에 머물던 6월 27일에 고양시의 ‘바이오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유치 실패가 확정됐고, 다음날인 6월 28일에 경기도가 CJ라이브시티에 사업 협약 해제를 통보했다.
이에 대해 김해련 의원은 “일은 경중이 있고 선후가 있다”면서 “지난 6월 고양시장은 상파울루에서 시티 투어를 하고 브라질에서 서울시 제1부시장을 만나고 있을 것이 아니라, 미국에서 투자할지 여부도 모르는 기업들을 방문할 것이 아니라, 이곳 고양시에서 경기도와 CJ의 재계약을 위해 노력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시정질문에서 이동환 시장의 취임 2주년 기자회견 발언을 근거로 “K-컬처밸리사업의 좌초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이 사업에 관심이 없다고 느꼈다”고 꼬집었다. 이동환 시장은 지난 7월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조속 추진을 희망했지만, 이는 경기도가 주체인 사업으로, 도는 계약 해제의 후속대책으로 공영개발 추진을 밝힌 만큼 잘 해나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발언에 대해 김 의원은 “우리는 권한이 없으니 책임도 없다는 말을 우회적으로 한 셈이냐”고 되물었다.
실제로 민선 8기 고양시가 경제자유구역 추진에 기울이는 노력에 비해 K-컬처밸리사업에 기울이는 노력은 없다시피 하고 있다. 김 의원은 “경제자유구역 추진과 신청은 경기도가 하고 지정 결정은 산자부가 한다. 그런데도 고양시는 올해 2024년 경제자유구역 추진을 위한 시 예산만 64억원을 쓰고 있다. 경자구역 지정에는 많은 예산을 쓰면서도 도시관리계획의 인허가권을 가지고 있는 K-컬처밸리사업에 대해서는 아무 노력도 안했는지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시장의 K-컬처밸리사업을 대하는 자세를 ‘무관심·무노력·무대책’이라는 말로 표현했다. 김 의원은 “경기도와 CJ라이브시티가 대립하고 있다면 고양시장은 모든 정보망과 관계망을 동원해서 예의주시하고 문제가 있을 때 직접 나서 중재하고 정치력을 발휘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어 “시장이 K-컬처밸리사업에 관심이 없으니 고양시에 관련 부서도 없고, 시가 할 일이 없으니 결국 10개 사항을 묻는 시정질문에 대한 공식 답변서도 단촐하게 나오는 것 아니냐”고 질타했다.
이동환 시장은 이날 김해련 의원의 시정질문에 대해 “약 1000억원에 해당하는 엄청난 지체상금 등에 대해 양측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 시가 양측을 중재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6월 국외출장이 잦았던 이유에 대해 “우리시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경제자유구역을 위해 국내와 국제 정책을 조화롭게 다루어나가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렇기에 6월 중 진행했던 국외출장은 반드시 추진해야 했다”고 답했다.
▼ 아래 링크를 클릭해 관련 동영상을 시청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