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관광공사·경기문화재단 등 이전
장거리 출퇴근, 이주비 부담으로 반발
생활안정대책 등 이주 따른 문제 많아
도, 29년 하반기 전에 보완책 마련해야
[고양신문]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입주가 계획된 ‘GH Biz&고양’(경기고양 기업성장센터)가 지난 7일 착공했지만, 각 공공기관 직원들이 이전에 대해 반발하고 있어 이를 어떻게 해결할지 관건이 되고 있다. 일부 공공기관 노조는 ‘절차적 준비 없는 강제적 이동’ 혹은 ‘이전에 따른 예산 낭비’라며 반대의 목소리를 키우고 있어 경기도로서는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GH Biz&고양은 일산동구 장항동 1818번지 일원에 지하6층·지상40층 규모로 지어진다. 이곳으로 이전이 추진되는 공공기관은 현재 수원에 자리한 경기관광공사, 경기문화재단,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 그리고 현재 장항동 빛마루 방송지원센터에 자리한 경기주택공사 고양사업단 등 4개 기관이다. 이들 4개 기관은 GH Biz&고양 40층 본관과 연결된 14층 높이의 ‘별동’으로 입주할 계획이다. 입주는 준공시기에 맞춰 2029년 하반기로 예정돼 있다.
이들 4개 공공기관의 GH Biz&고양으로 이전은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시절인 2019년 12월 경기도와 이들 4개 공공기관, 고양시 간 이전 업무협약을 체결함으로써 결정됐다. 당시 ‘경기도 남북부 간 균형 발전’이라는 명분을 내걸며 시작됐고, 김동연 현 도지사는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각 공공기관 직원들의 반발이다. 대부분 직원이 경기남부에 생활권을 두고 있어, 이전 시 장거리 출퇴근으로 인한 교통비 부담 가중, 이사를 할 경우 이주비 부담, 생활권의 갑작스런 변화로 인한 불편을 호소하며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직원들의 반발을 줄이기 위한 경기도의 방안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고 있다. 현재 수원시 경기도인재개발원 건물에 입주해 있는 경기관광공사는 약 60명의 직원이 이전해야 한다. 공사 관계자는 “현재 위치한 곳이 개발계획(북수원 테크노밸리 조성)이 있어 내후년 즈음 경기도 예전 청사로 임시 이전했다가 2029년 하반기에 고양으로 이전하기로 경기도와 협의되고 있다”면서도 “이전비용을 포함한 이주보완책에 대해 경기도와 협의는 간헐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전했다. 이어 “특히 이전비용이 만만치 않은데, 분양으로 들어갈지 임차로 들어갈지 결정되지 않았다. 자체 예산으로는 부족해 경기도의 예산지원이 있어야 이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역시 경기도인재개발원 건물에 입주해 있는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의 경우 어느 부서를 이전할지 결정하지 않은 상태다. 진흥원 관계자는 “2019년 업무협약을 맺을 때 기관 전체가 이전하는 것이 아니라 약 20명 정도를 이전하는 것으로 협약을 맺었다. 협약 당시 방송영상밸리와 관련된 부서가 이전하기로 했는데 지금은 해당 부서가 없어진 상태다. 하지만 협약을 맺었기 때문에 준공이 된다면 이전하는 것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기문화재단의 경우 산하기관인 박물관과 미술관을 제외한 본부 인원 약 90명이 이전해야 한다. 재단 관계자는 “직원들이 이전하는 것에 대해 대체로 인지하고는 있지만, 생활안정대책 등 이주에 따라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이 남아있다”고 전했다.
경기도는 각 공공기관과 협의를 통해 이주에 따른 보완책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의 북부이전 총괄부서인 경기도 공공기관 지원팀은 “시민들과의 약속이기 때문에 당초 계획대로 공공기관의 이전은 추진된다. 다만 준공시기가 당초보다 늦춰지면서 이전 시기가 지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직원 반발에 대한 대응책에 대해서는 “각 산하기관의 의견수렴을 통해서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후생복지방안 외에 필요한 경우 각 공공기관별 여건을 고려해 추가적인 지원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