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고양시 분담금 최소 600억원 이상 예상, 내년까지 526억원 마련
[고양신문] 고양시 내년 3조 예산에서 교통분야에는 철도망 구축 사업이 눈에 띈다. 신규 주요사업 예산으로는 ▲교외선 차량 정밀안전진단 분담금 ▲향동역 실시설계비 ▲인천2호선 고양연장사업 예산이 있고, 계속사업 주요 예산으로는 ▲GTX 사업 분담금 ▲대곡~소사선 일산역 연장 사업 예산이 있다.
2024년 운행이 재개될 계획인 교외선 차량 정밀안전진단비에 30억2820만원이 책정됐다. 고양 능곡, 양주 장흥을 거쳐 의정부까지 총 32.1㎞ 구간을 잇는 교외선 노선의 정차역은 대곡·원릉·일영·장흥·송추·의정부 6곳이다. 교외선 운행재개에 투입될 열차는 디젤자동차(RDC)인데, 이 차량은 내구연한이 2023년이기 때문에 재사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정밀안전진단이 필요하다.
총 103억원이 드는 정밀안전진단비 지자체별 부담금은 노선 거리 비례방식을 적용해 고양시 30억2820만원, 의정부시 13억2660만원, 양주시 28억5520만원을 부담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노선거리와 상관없이 30%인 30억9000만원을 부담하기로 했다. 고양시 철도교통과는 “정밀안전진단에는 잔존수명평가, 정밀안전진단, 필요 자재 구매, 차량 정비의 과정을 포함하는데 이 과정에는 총 32개월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경의중앙선 화전역과 수색역 사이 중간역으로 신설되는 향동역 신설사업 실시설계비 10억6000만원이 책정됐다. 고양시 예산으로 전액 충당될 향동역 신설 총사업비는 약 148억으로, 이중에는 국가철도공단에 위탁을 통해 추진되는 실시설계비가 포함된다. 향동역은 2023년 착공해 2025년 운영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인천2호선 고양연장사업 사전타당성 조사 공동 연구용역비는 9100만원이 책정됐다. 사업의 성공을 위해 고양, 김포, 인천 등 3개 지자체는 공동 경제성 향상 방안 연구에 동의했고, 용역예산 2억6000만원에 대한 각 지자체 분담금도 결정했다. 각 지자체 용역 분담금은 인천 7800만원(30%), 고양·김포 각 9100만원(35%)으로 결정됐다.
올해 6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발표 자료에 따르면, 인천서구~일산서구(18.5㎞) 구간에 경전철(2량 1편성)이 지나가는 노선이 약 1조7500억원을 들여 구축될 계획이다. 이 노선은 고양시 약 7.2㎞(39%), 김포시 약 5.5㎞(30%), 인천시 약 5.8㎞(31%)에 걸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고양시 주요 경유지는 킨텍스역, 주엽역, 일산역, 탄현·중산이다.
GTX A 노선 총사업비 약 3조4600억원 중 고양시는 2024년까지 최소 600억원 이상을 납부한다는 내부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현재 가능성이 있는 분담안으로는 총 사업비 중 정부가 약 1조원, 민자사업자가 약 1조7000억원, LH공사 약 3000억원을 분담하고, 나머지 약 4400억원을 서울시,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가 각각 차등 분담한다는 안이다. 고양시는 분담금을 2020년 약 79억원, 2021년 약 342억원을 이미 납부했고 내년 납부할 금액으로 104억8400만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고양시 철도교통과는 “분담금이 정확하게 확정되지 않았지만 국토부가 노선 적기개통을 위해 우리시에 우선 납부를 요청했다. 우리시는 협의 결과와 상관없이 최소 600억원의 이상의 분담금을 납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대곡~소사선(서해선) 일산역 연장운행 사업비 41억5300만원이 책정됐다. 경의선 대곡에서 일산역까지 약 6.8㎞ 구간을 연장하기 위한 사업비는 총 86억600만원으로 원인자 부담원칙에 따라 고양시가 전액 부담하게 된다. 고양시는 올해 44억5300만원을 납부했고 나머지 금액을 내년 예산에 책정했다. 2023년 2월 대곡~소사 사업 준공에 맞춰 일산역 연장운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