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 건강을 위한 책읽기- 불행은 어떻게 질병으로 이어지는가
[고양신문] 귄터 그라스가 1959년에 쓴 소설 <양철북>의 주인공 오스카는 이미 세 살 때 어른들의 추악한 세계를 혐오하여 세상에 편입되는 것을 거부합니다. 오스카는 일부러 높은 곳에서 떨어짐으로써 자발적으로 성장을 포기하죠. 트라우마가 실제로 성장을 방해한다는 건 지금이야 보편적으로 알려진 사실이지만, 당시에는 계단에서 추락한다는 식의 물리적 징검다리로 정신적 고통과 육체적 병리 현상을 연결하는 게 자연스러웠을 것입니다. 이와 같이 문학적 상상력은 우리의 관념이나 상식에 물음표를 던짐으로써, 영감을 주고 문제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여 창의적인 질문과 해법을 이끌어내는 마중물이 되어 왔습니다.
우리는 흔히 행복의 조건 중 하나로 건강을 꼽습니다. 역으로 아프면 불행해진다는 사실에도 큰 반론이 없지요. 그런데 정말 질병 때문에 불행해지는 걸까요? 혹시 불행해서 질병이 생기는 건 아닐까요? 이런 질문을 던진 뇌과학 책이 있습니다.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라는 부제로 전체의 주제를 요약한, 이 책 <불행은 어떻게 질병으로 이어지는가>의 저자 '네이딘 버크 해리스' 는 샌프란시스코의 빈민가 베이뷰 헌터스 포인트에 위치한 '아이들을 위한 웰니스 센터' 의 설립자이자 소아과 의사입니다. 저자는 아동기에 겪은 극심한 스트레스(유독성 스트레스)가 성인기의 심장병, 암, 자가면역질환 등 치명적 질병을 일으키는 위험 요소임을 임상의학, 뇌과학, 면역학을 기반으로 밝혀냈고, ACE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검사를 토대로 한 저자의 치료 과정과 지역 사회에서 일궈낸 성과 및 비전을 책에 담아냈습니다.
건강 정보 이론서라기보다 질병에 대한 저자의 다른 관점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체계를 만들어 임상적 결과를 만들어내기까지, 사람에 대한 애정과 일에 대한 거침없는 열정을 담은 자전적 에세이 느낌이 더 많습니다.
마음과 몸이 얼마나 긴밀한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는지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었고요. 어찌보면 우리에겐 동양의학의 오래된 지혜로 접해온 사실인지라 새로울 것도 없지만, '아동기 트라우마'를 개인과 가정이라는 골방에서 광장으로 끌어내어 공동체가 함께 대응해야 할 과제로 표준(standard)을 세웠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저자는 '유독성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반응이 혼란에 빠질 때 생기는 결과'로서 '독감이나 바이러스처럼 대상을 가리지 않는 무차별적 공중보건의 위기라는 관점에서 이 문제를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자신의 스트레스 반응이 활성화될 때 그것을 알아차리는 법,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건강한 방식으로 반응하는 법, 곤경에 처한 아이에게 멘토가 되어주는 법, 의사와 상의하는 법을 배우기 위해 우리는 하나의 공동체로서 할 수 있는 일을 감당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홍유경(건강넷/약사)
건강넷(건강백세네트워크)는 생명과 건강에 대해 공부하고 실천하는 고양시민의 커뮤니티입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카페 ‘통생명라이프-건강백세네트워크’를 찾아주세요
